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 위원 50명으로 발족됐다
평화통일 체계적 준비 민간 부위원장에 정종욱 인천대 석좌교수
평화통일 체계적 준비 민간 부위원장에 정종욱 인천대 석좌교수
한반도 평화통일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대통령 소속 ‘통일준비위원회’가 15일 발족했다.
통일준비위원회는 위원장인 박근혜 대통령을 포함해 총 50명으로 민간위원 30명, 국회 2명, 정부위원 11명, 국책연구기관장 6명 등으로 구성됐으며, 부위원장은 2명으로 민간위원중 1명, 정부위원중 1명이 맡았다.

박 대통령은 민간 부위원장에 정종욱 인천대 석좌교수를, 정부 부위원장에는 류길재 통일부장관을 임명했다. 정종욱 부위원장은 서울대교수, 외교안보수석비서관, 주중대사를 역임했다. 민간위원은 30명으로 통일에 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인사들을 선임했다.
특히 남북관계와 통일문제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의 중요성을 감안해 다양한 배경과 철학을 갖춘 분들이 참여한다.통일준비위원회는 외교안보, 경제, 사회문화, 정치법제도 등 분야에서 4개의 분과위원회로 구성했다.

분과위원회는 분과위별로 전문위원 30여명을 위촉해 심도있는 논의와 연구를 진행한다.국회에서는 여야 정책위원회 의장 2명이 당연직으로 참석하고 정부위원은 부위원장인 류길재 통일부장관을 포함, 11명의 위원들로 구성된다.

또 통일 준비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민관의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통일연구원 등 6개 국책연구기관장을 당연직 위원으로 포함시켰다. 통일준비위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해 시민자문단, 언론자문단, 통일교육자문단 등을 구성·운영한다.
시민자문단은 시민단체·직능단체 등 120여개의 단체가, 통일교육자문단은 대학총장 30여명·고교 교장 20여명 등이 참여한다.언론자문단은 통일문제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언론인 20명 내외로 구성, 운영할 계획이다.
통일준비위는 자문단 운영에 있어 보다 많은 분들이 참여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온라인 창구’ 등을 통한 의견수렴 등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통일준비위 1차 회의는 8월초 개최 될 예정으로 부위원장 등 구성원들과의 협의를 거쳐 정한다.
통일준비위원회는 앞으로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위해 민관 협업을 통한 내실있는 평화통일 기반구축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정부위원과 민간위원이 함께 협력해 통일한국의 미래상과 통일 추진의 구체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전문가, 시민단체, 연구기관, 정부간 소통과 협업으로 통일 및 통합과정의 의제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리 사회의 각계 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투명성 있게 통일논의를 펼쳐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