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 에너지 절감형 대형선망(고등어잡이)어선 개발한다
2019년까지 어선원 복지도 고려한 "대형선망어업 연구개발사업" 추진
2019년까지 어선원 복지도 고려한 "대형선망어업 연구개발사업" 추진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어업경비 절감, 어선원의 복지‧안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대형선망어업 어선의 새로운 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동 모델은 시험조업 등을 거쳐 2019년 이후 어업현장에 보급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올해부터 2019년까지 4년간 총 141억원(국비 81억원)을 투입하여 ‘대형선망어업 선진조업시스템 구축’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올해에는 선형 개발과 어로작업 방식 등을 설계하고, 2017~2018년에 시범 선박을 건조하여 2019년에 시험조업과 성능검증을 할 예정이다.
연구개발 사업은 중소조선연구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 대형선망수산업협동조합,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선박안전기술공단, 부경대학교, 극동선박설계 등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참여한다.
대형선망어업은 국내 고등어 어획량(연간 12여만 톤)의 90%를 공급하는 업종으로, 식량안보 측면에서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제주도 남부, 대마도 인근해역, 동중국해 등 한중일 공동조업수역에서 주변국 동종 어선과 경쟁하고 있다.
그러나 6척(본선 2척, 등선 2척, 운반선 3척)의 어선이 한 개 선단을 구성하여 조업하여 경비가 많이 들고, 선령이 21년 이상인 어선이 132척(전체 어선의 92%) 달할 정도로 노후화되어 있다. 선원실, 식당 등 후생시설은 비좁고 채광이나 환기도 잘 안되어 어선원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소한의 복지 공간도 부족하다. 이에 따라 동 업종이 어선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최완현 해양수산부 어업자원정책관은 “향후 새롭게 개발하는 대형선망 어선이 상용화되면 기존 선단은 6척에서 4척으로 줄고 어선원 후생공간도 대폭 개선되어, 어업비용은 13% 이상 절감되고 어선원 근로여건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신형 어선의 개발보급을 다른 업종에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