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 고압 육상전원공급시설 설치 4개기관 협약
인천시․한전․남동발전 등과 친환경 항만 조성위해 협력키로
국내 최초 고압 AMP 설치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나서
인천시․한전․남동발전 등과 친환경 항만 조성위해 협력키로
국내 최초 고압 AMP 설치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나서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남봉현)는 인천광역시, 한국전력, 한국남동발전이 선박의 화석연료 사용을 막고 항만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고압 육상전원공급시설(AMP) 설치에 뜻을 모으기로 했다고 2월 22일 밝혔다. 인천항만공사(IPA) 등 4개 기관은 22일 오전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에서 ‘항만 대기질 개선을 위한 육상전원공급시설(AMP)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동사업 추진기반 조성의 첫 걸음을 다졌다.
IPA에 따르면, 이번 업무협약은 공공기관 간 협력을 통해 항만 온실가스 저감 뿐 아니라 새로운 에너지 수요 발굴, 일자리 마련 등 사회·경제적 공유가치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IPA는 지난해부터 AMP 도입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 작년 7월에는 한전 및 민간선사와의 협력을 통해 연안여객터미널 연안 3잔교에 AMP 활성화 시범사업을 준공한 바 있다.
협약에 따라 4개 기관은 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3번 선석(18만톤급)에 접안하는 석탄하역 선박에 국내 최초로 대용량의 고압 AMP를 설치하게된다. IPA에 따르면 오는 4월중 실무협의체 구성을 통해 기관 간 역할분담 및 자료조사를 실시한 후, 7~8월 경 설계에 들어가 연내 준공하는 것이 목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AMP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술적 지원, 설치 후 항만 대기환경 개선효과 분석(IPA) △AMP 설치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감축성과 평가 및 홍보, 제도개선 건의 등 행정지원(인천시) △석탄하역부두 내 AMP 최적 전력공급방안 도출, 전기요금 개선 방안 마련(한전) △대상선박 현황조사 및 AMP 설치(남동발전)라는 각자의 과제를 함께 풀어가는 윈-윈 협력의 모범사례를 만들고 향후 표준화된 AMP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와 기술교류도 진행해 나갈 방침이다.
IPA 김영복 항만시설팀장은 “이번 사업은 공공기관 간 공동노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협업모델로 본격적으로 다가올 환경규제에 대응함과 동시에 기후변화 위기를 성장 동력 창출의 기회로 활용하는 성공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선박 육상전원공급시설(AMP, Alternative Maritime Power supply)은 정박 중 선박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사용을 위해 선박 엔진(발전기)가동 대신 육상전력을 공급하는 시설로, 선박 운용비용(유류비) 및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줄일 수 있어 LA항, 롱비치항을 비롯한 미주 및 유럽의 선진항만에서는 이미 사용 중이다.
(사진 : 2월 22일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본부에서 IPA등 4개 기관이 고압선박육상전력 공급사업 양해각서를 체결했다(왼쪽부터 김부일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장, 임청원 한국전력 인천지역본부장, 김재경 인천광역시 환경녹지국 대기보전과장, 인천항만공사 김영복 항만시설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