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북항∼신항 해상셔틀 서비스 부활 이중고
재개 비용 등 해양부 부산시 재정적 지원에 난색
화물연대 해상셔틀 서비스 재개시 집단운송 거부
민간사업자 제안방식 공모 4~5개월 소요돼 문제
재개 비용 등 해양부 부산시 재정적 지원에 난색
화물연대 해상셔틀 서비스 재개시 집단운송 거부
민간사업자 제안방식 공모 4~5개월 소요돼 문제
부산항만공사(BPA)의 부산항 북항∼신항 해상셔틀 서비스와 관련, 이중고의 난관에 직면해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으나 별다른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부산항 북항에서의 컨 화물을 신항으로 이송하는 육상과 해상셔틀을 검토하고 있으나 육상의 경우엔 도로파손 감소 및 교통체증 해소 등 직접적인 수혜자인 부산시에 두 차례 (6월 5일, 9월 16일)에 걸친 부산항만공사의 예산지원 요청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지원 여부에 대한 공식적 인 회신이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해상셔틀 재개를 위한 해양수산부의 재정적인 지원 요청도 2013년 전환교통 사업은 이미 사업자가 선정되어 집행중임을 이유로 지원불가 회신을 지난 6월 19일 받은 상태에 있다.
또 해상셔틀 재개에 대한 선주협회, 화물연대 등 이해관계자의 이의제기 관련 신중한 접근 필요한 것으로, 선주협회는 해상셔틀 부활 반대의견 수용 요청 건의(9월 16일)에 이어 육상셔틀의 경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대부분의 원양선사는 피더선사를 자가 터미널에 접안케 하여 육상셔틀 물량 줄이고 있는 상황에 있는 것이다.
이에 화물연대는 오는 10월 26일 부산에서 화물연대 전국 대회를 개최예정으로, 북항과 신항간 이동물량감소(‘10년 90만TEU→ ’13년 40만TEU)에 따른 경제적 손실로 해상셔틀 재개시 집단운송 거부 및 투쟁의사를 지난 9월 24일일 밝힌바 있다.
이처럼 화물 연대의 운송거부 등 집단 행동시 부산항 운영 차질은 물론, 대외신인도 하락과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돼 부산항만공사의 고민은 깊어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08년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7조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한 가운데 실제 화물연대 파업시 경제적 손실은 1일 3,360억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현대경제연구원은 분석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이같은 상황에 직면함에 따라 공청회 등에 의해 기존 해상셔틀의 고비용-저효율 문제를 민간사업자 제안방식 공모를 통해 해결하기로 하고 지난 9월3일 제2차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고 대상 사업자의 공모를 추진 중이나 대상업체 선정에 이어 협약체결까지는 최소한 4~5개월이 소요돼 이 또한 현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