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항만배후단지 관리계획 확정
기업유치 생산성향상으로 배후단지 운영활성화
단지별 기업유치 일정도 미리 확정
기업유치 생산성향상으로 배후단지 운영활성화
단지별 기업유치 일정도 미리 확정
항만 주위에 조성되는 항만배후단지의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한 항만배후단지 관리계획이 확정됐다. 해양수산부(장관 이주영)는 21일 전국 항만배후단지별 입주대상기업 선정 공고 일정 등을 담은 ‘2014년 1종 항만배후단지 관리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 계획에 따라 배후단지 입주 기업 추가 유치에 나서는 한편, 이곳에서 이미 영업 중인 기업을 대상으로는 경영 애로요인을 찾아내 이를 해소하는 데 힘쓸 방침이다. 또 배후단지 관리기관의 관리역량을 높이고 입주기업에 대한 사업실적 평가기준도 개선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지금까지 전국 주요항만에 300여만 평의 항만배후단지를 조성해 180여만 평을 복합물류‧제조시설 부지로 공급해 모두 125개 기업을 항만배후단지에 유치했고 이 중 88개 기업이 입주해 가동 중이다. 하지만 항만배후단지는 외형적 성장과는 달리 지원시설이 열악하고 입주기업의 신규화물 및 일자리 창출 등 실질적 운영성과는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따라서 해양수산부는 이번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면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173만4000TEU)보다 14% 이상 증가한 198만7000여 톤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이 분야에서 5400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1290여억 원의 외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창균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이번 관리계획은 기업의 추가유치 및 입주 기업의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배후단지 운영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것”이라며 “항만배후단지 관리업무를 전산화하고 사후관리 제도를 개선해 입주기업의 부담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