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100:세월호 침몰 실종자 수색 최선
정 총리 가족 요청 사항 수색 이행 당부
10일 유실방지 등 범대책본부에 지시해
정 총리 가족 요청 사항 수색 이행 당부
10일 유실방지 등 범대책본부에 지시해
세월호 구명장비 검사업체 대표 체포도
정홍원 국무총리가 5월10일 세월호 사고 범정부사고대책본부 관계자들에게 “진행되고있는 수색상황 등을 가족들에게 신속하게 설명하고, 가족들이 요청하는 사항에 대해 바로 정확하게 확인해 충실하게 이행하라”고 지시했다.
정 총리는 이날 범정부사고대책본부(진도군청)에서 이주영 해양부장관으로부터 수색현황을 보고 받고, 이어 진도실내체육관을 방문해 실종자 가족들과 함께 서해해경청장 등이 설명한 ‘선내 수색계획 및 결과’와 ‘유실방지대책’을 듣고 이같이 지시했다.
아울러, 실종자 가족들에게도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으니, 여러분께서도 잠수사 등 수색구조에 전념하고 있는 관계자들에게 격려를 보내 달라”고 당부했다.
대책본부는 사고해역 희생자 수색 지원을 위해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0일까지 해양조사원 선박 2척을 포함해 모두 10여척의 선박을 투입하여 해저영상탐사를 시행중에 있다.해저영상탐사 현황(Cell당 2km×2km)
시행면적은 세월호 주변 300㎢이며, 현재까지 세월호 주변에 건축자재 등 특이 물체가 다수 산재하는 것을 확인했으나, 희생자로 보이는 영상은 발견하지 못했다.

앞으로 탐사면적을 772㎢로 확대할 계획이며, 조사선박도 10척에서 19척으로 늘릴 계획으로, 특히, 침몰선 반경 6㎢ 해역에 대해서는 5월 15일까지 반복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이날 침몰된 세월호 구명장비 검사를 소홀히 한 혐의(위계에 의한 업무방해)로 정비 업체 관계자를 체포 조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 안전 점검 보고서에는 구명 설비와 관련 '양호'라고 기재됐으나 사고 당시 구명벌 46개 가운데 펼쳐진 것은 1개 뿐이었다.
검사를 담당한 이 업체는 '양호' 판정을 내렸으며 이 결과를 한국선급에 보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수사본부는 사고 원인을 과적, 고박(결박) 부실, 평형수 부족 등으로 보고 승무원 15명과 선사인 청해진해운 관계자 5명을 구속한 바 있다. 또 구명벌 등 안전 장비 관리 소홀과 불법 증축을 또 다른 원인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