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항만으로 진화하는 부산항 Green Port 순항 중

  • 등록 2014.08.11 15:54:27
크게보기

친환경항만으로 진화하는 부산항 Green Port 순항 중
이번엔 경유 사용 야드 트랙터를 액화천연가스 트랙터로 개선
 
부산항만공사가 부산항을 저탄소녹색명품항만으로 탈바꿈시키는 그린포트정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 하역작업이 이루지는 터미널의 장치장 크레인 100여 대의 동력원을 유류에서 전기방식으로 변환하여 연간 운영 경비를 약 100억원 절감하고 온실가스를 약 3만 톤 감축한 바 있다. <사진:부산신항만에서 시범 운영 중인 LNG Y/T>

이번에는 부두 내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야드 트랙터(Y/T, Yard Tractor)의 동력원을 유류에서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하여 경비절감 및 탄소배출을 낮추는 성과를 만들어 냈다. 작년 연말부터 부산신항만(PNC)에서 시범사업으로 추진해 온 것으로 오는 12일(오전 11시)에 관련기관과 각 항만공사 및 터미널운영사 담당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항만공사 신항사업소에서 성과발표회를 개최한다.
 
현재 우리나라 항만에서 사용되고 있는 Y/T 수량은 약 916대인데, 부산항에서 약 678대가 운영 중에 있으며, 연간 유류비는 약 216억 원으로 결코 만만치 않은 비용이다.
 
유류 Y/T를 LNG Y/T로 전환하게 될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그 첫 번째가 운영비의 절감이다. LNG Y/T의 연료비는 유류비 대비 약 37.9%가 절감이 되어 부산항은 연간 약 82억 원의 경비를 절약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두 번째는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42% 감축할 수 있으며, 세 번째는 Y/T 내용년수의 연장이다. 노후 된 Y/T의 디젤 엔진은 성능 개선을 위해서 분해정비(Overhaul)를 해야 하는데 분해정비 비용으로 LNG Y/T로 개선을 한다면 내용년수도 연장이 되어 투자비도 절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소음과 진동이 많이 줄어들어 운전자들의 작업환경 개선과, 유류 사용으로 인한 토양오염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들이 있다.
 
임기택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지난 3월에 LNG Y/T를 항만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항만법이 개정되고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도 이에 맞춰 개정이 되어 LNG Y/T를 부산항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부산항을 세계적인 친환경저탄소녹색명품항만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웅묵 기자
Copyright @2006 해사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세계 물류중심의 견인차 |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241-14, 1동 801호(쌍문동, 금호2차아파트) | 발행인:정재필 | 편집인:강옥녀 대표전화 02)704-5651 | 팩스번호 02)704-5689 대표메일 | jpjeong@ihaesa.com 청소년보호책임자:정재필 | Copyright@2006 해사경제신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165 | 등록발행일 : 2006년 1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