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항,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 최초 무인 전산화 CFS 시스템 도입
화물 입·출고 전산화 및 비대면 접수로 터미널 생산성 및 화주 편의성 증대 기대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는 인천신항에서 전국 컨테이너 터미널 최초로 「무인 전산화 CFS*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21일 밝혔다.
IPA에 따르면, 기존에는 컨테이너 터미널에 화물 입출고 예정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화주·포워더가 팩스 발송 또는 화물차 운전기사를 통해야했으나,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을 통해 직접 해당 정보를 SNCT 홈페이지(snct.sun-kwang.co.kr)에 사전 입력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입·출고 접수 키오스크 도입을 통해 차량번호 입력만으로 즉시 입·출고정보 확인이 가능해졌다. 이전에는 화물차 운전기사가 접수표 출력, 대면 접수, 입·출고증 발급 등의 절차를 직접 밟아야 했으나, 키오스크를 통해 해당 절차를 20초 내에 처리할 수 있게 됐다.
IPA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혼잡도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협의회를 구성해 인천항 4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SNCT, HJIT, ICT, E1CT)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해왔다.
시스템을 개발한 SNCT 전산팀 이후한 과장은 “CFS 입·출고 시 대기 발생, 화주-터미널-화물기사 간 소통 오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인 전산화 CFS 시스템을 개발하게 됐다”며, “시스템을 통해 화물기사 대기시간 단축으로 터미널 생산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화주, 터미널, 화물기사 모두의 편의성 역시 크게 증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항만공사 윤상영 항만운영실장은 “SNCT의 무인 전산화 CFS 시스템 도입으로 인천항 물류 역량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본 시스템을 인천항 내 컨테이너 터미널 뿐 아니라 전국 항만으로 확대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