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크레인 성능 1600톤으로 100톤 증대
육상 건조 등에 신공법 적용으로 효율 향상 기대
현대중공업이 최근 울산본사에 도크(Dock) 신설 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크레인 성능을 향상하는 등 생산설비 증설에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울산본사 해양공장에 설치된 세계 최대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 일명: 골리앗크레인)의 작업능력을 1천500톤에서 1천600톤으로 100톤 향상시켰다.
이 크레인은 주로 선박 육상(陸上) 건조와 해양설비 제작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번 용량 증대는 특히 LPG선 육상 건조시 화물창(탱크) 총조립 탑재 등의 신공법을 더욱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화물창 총조립 탑재는 지금까지 4~5개로 나눠서 선체에 장착하던 LPG 화물창을 한 번에 장착하는 것으로, 그 무게만도 1천500톤에 이르러 웬만한 설비와 기술이 없으면 엄두조차 낼 수 없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현대중공업이 이번에 성능을 높인 크레인은 2003년 스웨덴 말뫼시(市)의 코컴스(Kockums) 조선소에서 도입한 것으로, 높이 128미터·폭 165미터·자체 중량 7천560톤의 세계 최대 규모이다.
이 크레인은 최근 현대중공업의 자체 개조공사 후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으로부터 설계 및 시운전 검사 등의 형식 승인을 받았으며, 지난달 실시한 중량 테스트에서는 1천760톤까지 들어올리며 위용을 과시했다.
현대중공업은 이 크레인이 자체 중량을 지지하면서 용량 증대 후에도 정상 속도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전기 성능 검증에도 합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성도 확보했다.
이 크레인은 스웨덴에 있을 당시 유럽 조선업체의 번영을 상징하던 것으로, 우리나라로 옮겨질 때 세계 조선산업의 중심이 유럽에서 한국으로 옮겨졌다는 상징적 의미 때문에 업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03년 이 크레인을 우리나라로 옮길 당시 스웨덴 말뫼시에서는 이를 지켜보기 위한 시민들로 선적항이 인산인해를 이뤘으며, 국영방송에서 장송곡과 함께 ‘말뫼가 울었다’는 제목으로 이를 보도해 이 크레인을 ‘말뫼의 눈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대중공업은 지금까지 이 크레인을 이용해 도크 없이 육상에서 16척의 유조선을 건조했으며, 최근에는 8만2천㎥급 LPG선을 건조하고 있다.
특히 내달부터 육상 건조 능력을 현재 연간 8척에서 16척으로 2배가량 늘일 계획이고 대형 해양설비 수주도 임박한 상황이어서 이 크레인의 활약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현대중공업 오병욱(吳秉郁) 해양사업본부장은 이번 크레인 성능 증대로 선박 및 해양설비 건조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신공법과 신기술 개발에 더욱 매진해 세계 1위 자리를 수성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