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항 개항 이후 역사적인 컨 테이너선 취항식 개최
120억원 부가가치 창출 지역경제에 획기적으로 기여
11일 동해서부두, 취항식과 출항 선적식 잇달아 개최
동해항에 드디어 컨테이너선 정기 항로가 개설됐다.
동해지방해양청, 강원도, 동해시, 장금상선, 대한통운 컨소시움 등은 1월 11일 오후 2시 동해항 서부두에서 강무현해양부장관, 김진선 강원도지사, 최연희국회의원, 김학기동해시장, 박노종동해청장과 주역주민등 약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장금상선(대표이사 정태순)이 주1항차 부산~러시아보스토치니~동해항을 잇는 컨테이너선 골든게이트호의 정요일 취항 행사를 개최했다.
1979년 동해항이 개항한 이후 역사적인 컨테이너선항로 개설은 지역경제 발전에 획기적인 기여를 하게 됐다.
이날 강무현 해양수산부 장관은 치사(사진)를 통해"연간 120억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역사회 발전을 도모하게 됐다"고 밝히고 "동해항이 컨 화물을 취급함으로 지역 현안이던 환경문제 등을 해소하게 됐다"고 말했다.
장금상선은 이날 적재능력 991TEU, 1만7789총톤(G/T)의 풀컨선 골든 게이트 호를 투입, 동해~러시아 보스토치니항을 잇는 컨테이너선 취항 선적식을 잇달아 개최하고 본격적인 운항사업에 착수했다.
강원도 동해권에서는 최초로 개설되는 이 같은 컨 항로는 향후, 동해~일본 서안 지역 항만을 직기항하는 추가 정기선을 연결할 계획으로 있어 러시아와 일본 등을 잇는 컨항로 운영이 본격 착수될 것으로 보인다.
장금상선은 동해지방해양수산청 등 관계자들로 구성된 포트세일즈를 적극 추진하여 화물 창출에 주력, 대 화주 이용에 따른 홍보강화에 나섰다.
동해지방해양청은 장금상선의 항로개설에 따라 예 도선료 등 각종 항만시설 사용료 감면(2007년 12월 해양수산부 고시)조치와 지자체(도, 시)와의 항로개설 보조금 지급 등은 물론 장금상선의 영업 실적을 고려, 운항관련 적정물량 확보시까지 여타선사의 신규항로 개설을 지양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대한통운 등 동해항「컨」부두 운영회사를 설립, 서부두 전체(400m)와 서부두 전면구간 Apron 및 야적장 등 배후지(5만7830㎡)를 임대사용케하고, 후면 야적장은 공용 또는 세관의 보세창고, 검색대 등으로 활용케 하면서 서부두에 야적하고 있는 원목 등을 북부두 여객터미널 주변지역 등으로 이전 처리하기로 했다.
동해청은 또 부두운영회사의 이동식 하역기기는 선박 양적하 하역기(Habor Crane) 1기와 Apron, 컨테이너 야드내 이적을 위한 장비(Reach Stacker) 2~3기등을 설치하고 작년 11월 중순경부터 컨테이너 활성화 추진단을 발족시켜 가동해 오고 있다.(동해 현지:정웅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