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준 교수 스포츠로 하나 됨 그 이면에는

  • 등록 2011.03.17 16:31:00
크게보기

정희준 교수 스포츠로 하나 됨 그 이면에는
한국해양대 월드비전 특강 2011학년도 1학기 첫 강좌


한국해양대학교(총장 오거돈)의 명품 교양강좌로 자리 잡은 ‘월드비전’ 특강의 올해 첫 번째 강의에 정희준 동아대 교수가 나서 ‘스포츠 판타지의 세계, 이 박지성이 그 박지성인가?’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16일 오후 3시 학내 시청각동에서 열린 강의에서 정 교수는 “근래 한국의 민족주의가 가장 잘 발휘되는 부분이 스포츠”라며 민족과 민족주의의 개념, 우리나라 민족주의의 형태를 스포츠와 연계해 흥미롭게 풀어나갔다.


정 교수는 먼저 민족이란 개념이 성립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고유영토와 자율성, 적대적인 주변 환경과 전쟁의 기억을 꼽았다. 그리고 “공공의 적과 전쟁에 대한 기억이 사라진 현대사회에서 민족을 상기시키는 대용품이 바로 스포츠”라며 “월드컵과 같은 국제 경기는 민족주의 감정을 자극하는 세계 최고의 이벤트”라고 표현했다.


그는 베네딕트 앤더슨이 쓴 「상상의 공동체」라는 개념을 빌려 “민족주의는 애초부터 고유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현실의 상황과 사건, 이데올로기와 결합하면서 파시즘, 나치즘과 같이 유동적으로 창조ㆍ변형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의 민족주의가 경건하고 저항적이며 희생이 요구되는 것이었다면 미디어와 자본주의가 큰 역할을 담당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쾌락적 욕망을 자극하고 소비를 요구하는 경제적 동력의 성격을 띤다고 덧붙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월드컵 시즌마다 거리 곳곳에 넘쳐나는 붉은 악마와 박지성, 김연아로 대변되는 스포츠 영웅 등을 예로 들며 우리나라 스포츠 민족주의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스포츠는 온 국민을 하나로 묶는 훌륭한 매개체이지만 자국의 우월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선수들에 대해 극단적으로 미화하거나 상업적 도구로 활용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지성인으로서 언론과 자본주의 질서로 왜곡된 현실을 직시할 줄 아는 눈을 키울 것을 당부했다. 


정 교수는 연세대 체육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대에서 석사 학위를,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아대 생활체육학과 교수로서 문화사회연구소 부소장, 국가인권위원회 정책자문위원, 한국스포츠사회학회 기획담당 상임이사 등의 직책을 맡고 있으며 스포츠 칼럼리스트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미국 신보수주의와 대중문화 읽기' '스포츠 코리아 판타지' '어퍼컷' 등이 있다.


한편 ‘월드비전’ 특강은 2008년 2학기부터 한국해양대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능력을 키우고 글로벌 인재로서 기본적 소양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 국내 유명 인사들을 초청하여 운영하고 있는 옴니버스 교양강좌이다. 올해 기초선택과목으로 특강을 신청한 학생들은 매주 수요일마다 출석 점수와 수강 감상문으로 대체된 중간ㆍ기말고사로 2학점을 인정받게 된다.


그동안 홍세화(언론인), 리영희(언론인), 금난새(지휘자), 신경림(시인), 진중권(교수), 안철수(교수), 김대식(정치인), 유홍준(교수), 김명곤(배우), 법륜(승려)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이 연사로 나서 학생들에게 폭발적인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이러한 호응에 힘입어 그동안 특강을 실시한 명사들의 강연 내용을 엮은 책 '청년들, 지성에게 길을 묻다 1, 2'가 각각 지난해와 올해 초 출판되기도 했다.


올해 특강 강사로 나서는 명사는 정희준 동아대 교수를 비롯해 박명림 연세대 교수, 김정헌 화가, 권해효 영화배우, 고세훈 고려대 교수, 권오율 호주 그리피스대 교수, 이봉조 전 통일연구원 원장, 정달호 재외동포영사대사, 오거돈 한국해양대 총장, 이광연 한의원장, 최갑수 서울대 교수 등 11명이다.


‘월드비전’ 특강을 기획ㆍ총괄하는 김용일 교수(교직과)는 “현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트렌드가 반영된 주제들로 학생들이 다양하고 명쾌한 비전을 얻을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웅묵 기자
Copyright @2006 해사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세계 물류중심의 견인차 |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241-14, 1동 801호(쌍문동, 금호2차아파트) | 발행인:정재필 | 편집인:강옥녀 대표전화 02)704-5651 | 팩스번호 02)704-5689 대표메일 | jpjeong@ihaesa.com 청소년보호책임자:정재필 | Copyright@2006 해사경제신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165 | 등록발행일 : 2006년 1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