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해양실크로드의 특별한 성과물 영문저서
The Maritime Silk Road and Seaport Cities 발간
[Jeong Moon-soo et al. Sunin Publishing, 2015.05]
The Maritime Silk Road and Seaport Cities 발간
[Jeong Moon-soo et al. Sunin Publishing, 2015.05]
한국해양대학교와 경상북도가 공동 주최한 “2014 코리아 해양실크로드 탐험대” 대원 150명은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87일간 한국해양대학교 한바다호(6,586톤)를 타고 27,000km의 해양대장정에 나섰다.
이들은 태평양과 대서양에 위치한 14개 국가, 16개 해항도시를 탐사했다. 이 기간 동안,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는 해양실크로드 상의 두 거점 해항도시 광저우와 뭄바이에서 “해양실크로드와 해항도시”라는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아시아의 해양 인문사회 학자들이 대거 참여한 이 두 국제학술대회는 ‘해양실크로드’라는 핫이슈를 다룬 데에다 수준 높은 논문의 발표와 열정적인 토론이 진행되면서 한국에서는 물론 중국과 인도에서 각계각층의 관심을 받은 바 있다. 이 책은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정문수 소장이 이들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19편의 의미 있는 글을 새로운 수준으로 편집한 것이다. 이 책은 ‘해양실크로드 담론’, ‘역사 상의 해양실크로드’ 그리고 ‘글로벌 시대의 해양실크로드’ 등 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인 ’해양실크로드 담론’에는 <해양실크로드와 방법론적 해항도시>(정문수), <해양실크로드에 대한 개념 연구>(정수일), <해양실크로드와 해양문화 연구>(양국정)가 실려 있다. 특히 동아시아의 해양실크로드를 치밀하게 역사적으로 조명하고 있는 제2편 ‘역사상의 해양실크로드’는 <14-15세기 해양실크로드와 육상실크로드의 관계>(하마시타 다케시), <장보고와 황해실크로드>(진상승), <최치원의 시를 통해 본 9세기 황해실크로드>(최낙민), <여․송 해상항로와 활용>(김강식), <유라시아 해양실크로드와 신라인 거주지>(윤명철), <17세기 동아시아해양과 해양실크로드의 변화>(이근명), <법현의 항해기를 통해본 인도양의 동서문화교류>(곡금량), <인도의 해양불교 연구와 고고학>(다야란 두라이스와미), <해양실크로드와 선박>(최운봉), <해상실크로드 상의 “남해1호”>(이경신)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해양실크로드: 미래를 상상하기 위한 과거의 송환>(라다 비즈와나탄), <해양실크로드의 재창조: 국제적인 맥락과 개념적․제도적 측면)(라다하라만 차크라바르티), <신해양실크로드의 지경학과 지문화학>(산자이 데시방드), <글로벌 시대의 해항도시와 코스모폴리타니즘>(박민수), <트랜스내셔널 해양실크로드와 코스모폴리탄 커먼즈>(노영순)가 제3편 ‘글로벌 시대의 해양실크로드’를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