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상반기 전국 항만물동량 총 7억 8천916만 톤 처리
컨 물동량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1,346만 6천 TEU 처리
▲ 총 괄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2017년 상반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7억 8천916만 톤(수출입화물 6억 4천700만 톤, 연안화물 1억 4천216만 톤)으로, 전년 동기(7억 5천만 톤) 대비 5.2%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부산항, 대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4%, 9.3% 증가하였으나, 포항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13.1%, 0.9%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시멘트는 17.4%, 유연탄은 14.4% 증가한 반면, 철재는 12.7% 감소하였다.
▲ 비컨테이너 화물
비컨테이너 화물 처리 물동량은 총 5억 4천811만 톤으로 전년 동기(5억 3천576만 톤) 대비 2.3% 증가하였다.
대산항은 이란산 원유 수입 증가와 석유정제품 수출 물량 증가, 유연탄 수입물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하였다. 동해·묵호항은 유연탄과 유류의 수입 물량 증가와 국내 주요 항만으로 광석 및 시멘트 출하 물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하였다.
반면, 포항항의 경우 철강재 생산에 필요한 광석 수입 물량과 철재품의 출하 물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기 대비 13.2% 감소하였다. 부산항은 유류제품과 철재 수입 물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시멘트와 화공품 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5%, 15.6% 증가한 반면, 철재 등은 13.3% 감소하였다.
시멘트는 국내 주요 시멘트 생산지역인 동해·묵호항과 삼척항의 출하 물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하였다. 화공품은 국내 주요 석유화학제품 생산지역인 여수, 울산지역의 화공품 수출 물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하였다.
반면, 철재의 경우 광양항의 수출입 물량 감소와 목포항의 연안 입출항 물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기 대비 13.3% 감소하였다.
▲ 컨테이너 화물
한편 2017년 상반기 전국항만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중국, 미국 등 주요국과의 교역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전년 동기(1,280만 9천 TEU) 보다 5.1% 증가한 1,346만 6천 TEU 를 기록하였다.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1,010만 6천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미국, 중국, 동남아 등 주요 국가들의 수출입 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리 수 이상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한 500만 5천 TEU를 기록하였으며, 환적화물은 국적선사 중심의 동남아 서비스 확대 등으로 2.3% 증가한 502만 TEU를 기록하였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 대비 7.7% 감소한 107만 7천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2.0% 감소한 86만 8천 TEU를, 환적 물량은 39% 감소한 17만 1천 TEU를 처리하였다.
인천항은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한 146만 TEU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중국, 베트남 수출입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017년 상반기 컨테이너 물동량은 머스크社(MAERSK)의 랜섬웨어 피해에 따라 6월 물동량이 일부 미반영되었으며, 미반영 물동량 추가 반영 시 전국 물동량 1,352만 7천 TEU, 부산항 물동량 1,016만 7천 TEU로 전년 대비 각각 5.6%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