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국내 첫 크루즈 준모항 본격 운영… 5월부터 해외 출항 시작
해수부·문체부,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방안」 후속 조치… 지역경제 활력 기대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오영훈)와 협력해 오는 5월부터 제주 강정항에서 승객이 직접 승선해 해외로 출항하는 ‘크루즈 준모항’ 운영을 본격화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6월 정부가 발표한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방안」의 핵심과제 중 하나인 ‘국내 모항·준모항 상품 육성’의 후속 조치다.
준모항은 일부 승객이 승·하선할 수 있으며, 보급 및 관광기능을 수행하는 항구로, 기존 ‘기항 중심’의 단순 방문형 크루즈 구조에서 탈피해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하기 위한 시도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크루즈 관광은 대부분 일정 시간 정박 후 다시 출항하는 형태로 이뤄져, 관광객 소비 지출과 지역경제 파급력이 제한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에 해수부와 문체부는 크루즈가 출항하고 도착하는 ‘모항’과 ‘준모항’ 기능을 활성화해, 국내 관광 유도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무인자동출입국심사대 설치, CIQ(세관·출입국·검역) 협의, 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 제도 개선과 편의성 강화에 나섰다. 이번 시범 운영은 제주 강정항에서 시작되며, 향후 제주항을 포함한 국내 주요 크루즈 항구로 확대될 예정이다.
해수부와 문체부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해운과 관광이 융합된 해양관광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를 위해 올해 2~3월 과장급 인사교류를 실시했고, 지자체·한국관광공사·항만공사 등 유관기관과의 협업 체계도 구축했다.
문체부는 올해 12월까지 전국 8개 권역의 해양관광자원을 관광 콘텐츠화해, 지역 특색을 살린 해양관광상품을 개발·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제주에서는 서귀포 지역의 생태·마을여행형 책임관광 프로그램과 비양도의 섬 체험 콘텐츠 등이 크루즈 관광과 연계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크루즈 준모항 도입은 우리나라 크루즈 산업의 구조적 전환을 이끌 핵심 정책”이라며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해양관광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크루즈는 해양관광의 새로운 축이자 지역 관광 활성화의 핵심”이라며 “지자체 및 관련 기관과 협력해 해양관광 테마 발굴과 상품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