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 국가공인 자격 격상…항만 공기업 협의체 출범
해양수산부의 제1차 실무형 해상물류 일자리 지원사업을 통해 추진된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 자격이 올해부터 국가공인 자격으로 격상됨에 따라, 국내 항만 공기업들이 힘을 모아 관련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울산항만공사(UPA)는 5월 21일, 울산을 포함한 4대 항만공사(부산·인천·여수광양)와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참여하는 ‘스마트 해운물류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항만 공기업 협의체’를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유관기관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해, 국가공인 자격으로 격상된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를 중심으로 해운물류 분야의 공공-민간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실무형 인재 양성의 중요성에 공감대를 나눴다.
이어 열린 사업보고회에서는 제2차 실무형 해상물류 일자리 지원사업의 전국 확산을 위한 공동 대응방안이 중점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는 향후 항만 공기업 채용 시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 자격 보유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고, 물류·항만 창업기업에 실증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협력모델을 구축하며, 각 항만공사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연계해 공동 생태계를 조성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협의체는 해양수산부의 정책 방향에 발맞춰 스마트 해운물류 산업의 실효성을 높이고, 각 기관이 보유한 역량과 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창출해나갈 방침이다.
울산항만공사 변재영 사장은 “스마트 해운물류 산업의 혁신은 공공과 민간이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며, “이번 협의체 출범을 계기로 현장 중심의 생태계 조성과 지속적인 성과 확산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