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주협회 해운산업 위기극복 대책 간담회
우선 국내 선사들의 어려움을 이야기 하고 해운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토론 하는 자리가 된 이번 간담회는 우선적으로 보다 원할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떠올랐다.
2015년 정부가 발표한 산업별 구조조정 추진현황과 향후계획 발표를 보면 개별회사의 유동성문제는 원칙적으로 자체적인 노력으로 해소해야 한다. 12억달러 상당의 선박신조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부채비율 400%이하 선사에게 지원 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원양선사의 유동성문제는 자체적으로 해소가 안되는 상황이며, 2009년 이후 원양선사는 5조원(전용선, LNG매각, 유상증자, 부산신항 지분 매각 등)의 유동성 확보했으나, 회사채 연장시 20% 상환과 높은 이자 추가부담 및 영업손실 등에 사용되어 신규선박건조 등 경쟁력 향상에 자금이 투입되지 않았다.
특히 현대상선은 벌크전용선 6,000억원 매각을 통해 자구안을 실행하고 있는중으로 노력중이다. 2016년도에 필요한 회사채 상환금액은 현대 한진을 포함하여 약 6,766억원으로 부채 400%이하를 맞추기 위해서는 약 1.5조원의 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다.
외국의 경우 자국선사 위기극복을 위해 위기 초기에 신규자금 및 신용자금 등 전폭 지원함으로 신용등급 확보에 따른 부채비율 감소, 이자부담 완화, 신규투자 가능하게 하는 등 도움을 주었다.
김영무 상근 부회장은 해운업이 이어려운 시기를 넘기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해운・조선・철강 동반성장이 되야하고 이 모든것을 지휘 할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위기는 개별선사가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차원에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의견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