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수산업 현장에서 답을 찾다…부산·경남서 권역별 기후포럼 개최
해양수산부가 기후위기 시대에 수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현장 행보를 이어간다.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4월 24일 부산국제수산물유통시설관리사업소에서 ‘부산·경남 권역 기후변화 포럼’을 개최하고, 수산·양식 분야 기후변화 대응 전략에 대해 어업인, 지자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댄다.
이번 포럼은 해수부가 지난해 12월 수립한 「수산·양식 분야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의 후속 조치로, 연말까지 전국 권역별로 순차 개최되는 다섯 번째 포럼이다. 앞서 4월 11일 경기·인천 권역에서 열린 네 번째 포럼에서는 지역 어업인과 지자체 담당자,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여해 꽃게와 주꾸미 등 대표 어종의 생태를 고려한 금어기 조정, 해양환경 모니터링 강화 등 실질적인 아이디어가 논의됐다. 이들 제안은 정책화 가능성을 두고 관계 부처에서 검토 중이다.
이번에 열리는 부산·경남 권역은 전국 수산업의 중심지이자, 가공·유통 등 2·3차 산업이 집적된 수산업의 핵심 거점이다. 전국 수산물 가공품 생산량의 43.2%, 생산액의 3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산물 수출입 대부분이 부산을 통해 이뤄지는 등 해양산업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경남지역은 전남과 더불어 고수온 피해가 반복되는 대표 지역으로, 해수온 상승과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방안은 물론, 연근해어업과 양식업 현장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해 지역별 특성과 맞는 정책 아이디어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오는 5월 중에는 강원·경북·울산 지역에서도 추가 포럼이 예정돼 있으며, 이를 통해 전국 권역의 어업인이 겪는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실태와 대응 방안을 폭넓게 수렴할 방침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경기·인천 포럼에서 보내주신 어업인들의 관심과 제안에 깊이 감사드리며, 정책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부산·경남 포럼에서도 지역 특성이 반영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현장 의견이 모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