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4 (화)

  • 맑음동두천 24.3℃
  • 맑음강릉 28.0℃
  • 맑음서울 24.3℃
  • 맑음대전 25.3℃
  • 맑음대구 26.5℃
  • 맑음울산 24.0℃
  • 맑음광주 25.1℃
  • 맑음부산 21.7℃
  • 맑음고창 23.1℃
  • 맑음제주 20.9℃
  • 맑음강화 20.5℃
  • 맑음보은 24.3℃
  • 맑음금산 24.8℃
  • 맑음강진군 26.2℃
  • 맑음경주시 28.2℃
  • 맑음거제 24.3℃
기상청 제공

올 11월 고등어 참조기 꽃게 생산량 대폭 증가

멸치 전갱이 오징어는 지난해 같은 달 보다 감소

 

올 11월에는 고등어,참조기,도루묵,꽃게의 어획량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증가한 반면, 멸치,전갱이,오징어의 어획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가 26일 발표한 ‘2007년도 11월중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전체 어업생산량은 28만8,980톤으로 지난해 11월(24만3,836톤)보다 4만5,144톤(18.5%) 더 잡힌 것으로 나타났다.

 

어업형태별로 살펴보면 ▲일반해면어업 10만1,330톤 ▲양식어업 10만4,249톤 ▲원양어업 3만4,517톤 ▲내수면어업 2,447톤이 생산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일반해면(연,근해)어업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 같은 달(11월)보다 23.1% 증가하였으며, 품종별로는 고등어(4만3810톤, 125.6%), 참조기(9,275톤, 63.9%), 도루묵(1,331톤, 190.0%), 꽃게(1,574톤, 324.3%)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증가했으나, 멸치(1만2,539톤, △14.4%), 삼치류(1,025톤, △20.8%), 오징어(2만4,380톤, △4.6%)는 각각 감소했다.

 

 고등어,참조기,갈치,강달이류 등의 생산량 증가는 제주도 주변해역과 서해남부 및 남,서방해역에서의 수온하강과 함께 남하하는 어군이 연안지역에 내유량이 증가되었으며, 참조기는 황해저층냉수 및 연안수와 황해난류 사이에 수온전선대가 형성되어 격렬비열도~흑산도~추자도에 걸쳐 어장이 형성되었고, 꽃게는 지난해 겨울 월동하기에 좋은 적정수온 유지로 성장조건이 좋아 생존율이 증가되었으며, 연,근해 해역에서 근해안강망 및 기선저인망어업의 조업활동이 활발하여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멸치 등은 남해도~거제도를 중심으로 남해동부해역에서 중심어장이 형성되었으나 계절적인 수온의 하강과 함께 동해중부해역으로부터 남하 회유하는 어군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9% 증가한 양식어업은 조피볼락(3,032톤, 4.7%), 감성돔(392톤, 6.8%), 굴류(55,964톤, 20.3%), 꼬막류(9,099톤, 653.9%), 김(2만566톤, 131.3%) 등이 증가한 반면, 넙치류(3,052톤, △8.0%), 참돔(404톤, △22.5%), 대하(144톤, △65.3%), 홍합류(6,029톤, △58.0%) 등은 감소했다.

 양식어종 중 조피볼락의 생산량 증가는 출하가격이 상승에 따라 운영비 확보와 사육밀도 수급조절을 위하여 조기출하 한 것으로 분석되며, 반면, 생산량이 감소한 넙치,참돔은 양식물량 및 소비가 줄었고 판매물량의 산지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판매기피로 인하여 출하가 지연되어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4.1% 증가한 원양어업은 가다랑어(1만8,291톤, 27.0%), 황다랑어(3,535톤, 47.2%), 민어류(1,968톤, 28.5%) 등이 증가한 반면, 명태(2,358톤, △40.2%), 눈다랑어(1,611톤, △29.5%), 꽁치(479톤, △67.3%), 오징어류(596톤, △42.5%) 등은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9.0% 증가한 내수면 어업은 뱀장어(1,193톤, 47.5%), 송어류(271톤, 47.3%), 우렁이(40톤, 90.5%), 자라(13톤, 30.0%) 등이 증가했으며, 메기(150톤, △52.7%), 붕어(120톤, △14.9%), 재첩(39톤, △38.1%), 다슬기(11톤, △66.7%) 등은 감소했다.

  

한편 2007년도 11월까지의 어업생산량 기준으로는 지난해 동월까지의 누계(272만5000톤) 대비 6.9% 증가한 291만4000톤 생산되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미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