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항만 3분기 물동량 3억 9,028만 톤 컨테이너 790만 TEU로 두 분기 연속 증가
해양수산부는 2025년 3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총 3억 9,028만 톤의 물동량을 처리했다고 10월 30일 밝혔다. 전년 동기 3억 9,455만 톤 대비 1.1% 감소했으나 컨테이너 물동량은 790만 TEU로 0.7% 늘어 상반기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수출입 화물은 3억 3,668만 톤으로 전년 동기와 동일했고 연안 화물은 5,360만 톤으로 7.4% 감소했다.
컨테이너 부문에서 수출입 물동량은 438만 TEU로 0.8% 증가했다. 수출은 221만 TEU로 1.8% 늘었고 수입은 217만 TEU로 0.3% 줄었다.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입이 각각 5.8%와 7.1% 감소한 반면 중국과의 수출입은 각각 7.0%와 6.8% 증가했다. 환적은 347만 TEU로 0.6% 늘었으며 캐나다 26.0%, 칠레 44.5% 증가가 눈에 띄었다.
주요 항만별로 부산항은 609만 TEU를 처리해 0.8% 증가했다. 수출입은 268.8만 TEU로 0.1% 감소했으나 환적은 340만 TEU로 1.6% 증가했다. 인천항은 87.3만 TEU로 0.9% 늘었고 수출입 86만 TEU로 1.0% 증가했다. 광양항은 총 50만 TEU로 1.5% 감소했지만 수출입은 45만 TEU로 6.1% 증가했다. 2025년 9월 유럽향 신규 원양 서비스 유치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비컨테이너 화물은 2억 5,332만 톤으로 1.5% 감소했다. 품목별로 유류는 1억 1,724만 톤으로 0.7% 증가했고 자동차와 부품은 2,405만 톤으로 1.8% 늘었다. 유연탄은 3,402만 톤으로 6.3% 증가했다. 반면 광석은 2,833만 톤으로 10.3% 감소했고 철강은 1,583만 톤으로 14.4% 줄었다. 항만별로는 평택 당진항과 인천항이 증가했고 광양항과 울산항은 감소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추석 연휴에 따른 기저효과로 3분기 수출입 컨테이너가 전년 대비 플러스로 전환됐지만 본격 회복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미 관세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조기선적 수요가 해소되면서 환적 증가세도 둔화한 것으로 분석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3분기에도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했다며 다만 증가율 둔화를 감안해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