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글로비스가 글로벌 자동차 해상운송 선사들과 함께 해운산업의 탄소배출 표준화를 위한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디뎠다. 회사는 11월 18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글로벌 로로 커뮤니티(GRC) 총회를 공동 주최하며, 자동차운반선 분야의 신(新) 해상운송 탄소집약 계수를 공개하고 글로벌 표준화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총회는 현대글로비스가 주관하고 발레니우스 빌헬름센, 한국선급, 스마트 프레이트 센터(SFC) 등이 공동으로 참여했으며, 완성차 제조사, 화주사, 연구기관 등 약 75%의 글로벌 로로(Ro-Ro) 업계 대표자들이 함께해 탄소중립 추진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 신탄소계수, 실측 데이터 기반으로 첫 공개
공개된 새로운 계수는 기존 연구 기반 방식에서 탈피해, 실제 운항 중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전체 자동차운반선 시장의 75% 이상을 아우르는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존에는 업계 전반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한 추정값이 사용돼왔다는 지적이 있었던 만큼, 이번 계수 공개는 자동차 해운물류의 탈탄소화를 위한 핵심 이정표로 주목받고 있다.
◼ LCA 연계 및 공급망 탄소중립 기여
이번 표준화 작업은 단순한 수치 제공을 넘어 완성차 산업 전반의 생애주기 탄소배출(LCA) 관리 체계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선사별 탄소성과 비교가 가능해지면서, 완성차 제조사들이 친환경 물류 파트너를 선택하는 데 실질적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러한 변화가 결과적으로 물류 공급망 차원의 비관세 장벽 대응력 강화와 동시에,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2045년 탄소중립 목표 선도
현대글로비스는 자체적으로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로드맵을 수립, 정부 목표(2050년)보다 앞서 탈탄소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에너지 효율 개선, 저탄소 연료 전환, 재생에너지 활용 등 다각적 노력을 통해 목표 실현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총회를 계기로 글로벌 해운업계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길 기대하며,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탈탄소 전환 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해운업계 전반에 걸쳐 친환경 패러다임을 이끌고, 국제 무대에서 탄소중립 이행의 모범사례로 자리잡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