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안보·기후 위기 대응 위한 다자협력 방향 제시… “한국, 중견국형 해양협력 설계자 될 것”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인도-태평양 지역을 둘러싼 복합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함께 지속가능한 해양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KMI는 지난 20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의 도전과 과제 및 향후 협력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해양·경제·기후·안보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전략을 논의하고, 한국의 해양외교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조정희 KMI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은 세계 인구의 65%가 거주하고, 글로벌 GDP의 60%, 해상물동량의 절반이 집중된 핵심 지점”이라며 “이 지역은 해양교통로와 공급망이 교차하는 동시에 기후위기의 최전선에 있는 전략적 공간”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는 총 세 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인도-태평양 지역 협력의 평가와 전망이 다뤄졌다.
조원득 국립외교원 아세안인도연구센터장은 “다자 및 소다자 협력 네트워크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반길주 국립외교원 지정학연구센터장은 “해양을 글로벌 공공재로 인식한 다층적 외교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해용 성신여대 교수는 “미·중 전략 경쟁과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경제안보 전략도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지정학적 환경 변화에 대응한 해양협력 과제가 제시됐다. 이선미 해양경찰청 계장은 북태평양 공해상에서의 IUU(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 단속 현황과 국제 공조 사례를 소개했고, KMI 김민수 북극항로지원단장은 “북극항로 개척은 인도-태평양과 북극을 잇는 새로운 전략공간을 여는 계기”라고 평가했다. 박수진 KMI 독도·해양규범연구실장은 “해수면 상승, 해양오염, 재난 등 해양현안 대응을 위해 과학기술과 재원을 연계한 패키지형 협력모델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김흥종 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아 정부,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한 라운드테이블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한국이 ‘중견국형 인도-태평양 협력 설계자’로서 역할을 확대해야 하며, △해양안보 △공급망 및 에너지 △기후·환경안보 △디지털 기술 등의 분야에서 실천 가능한 협력과제를 구체화해 나가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조정희 원장은 폐회사를 통해 “해양법질서, 공급망, 기후위기 등 복합적 도전은 단일 국가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라며, “KMI는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와 글로벌 해양강국 실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전략적 협력을 주도하고, 해양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국제 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논의의 장이 됐다는 평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