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산업, AI 전환(AX)의 최적 테스트베드… 공급망 경쟁력 이끈다”

CJ대한통운이 국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피지컬 AI(Physical AI)’ 기반의 물류 산업 AI 전환(AX) 전략을 제시하며 물류 분야가 AI 기술 상용화의 핵심 무대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TES자동화개발담당 구성용 실장은 **“물류 산업이 AI 학습에 최적화된 데이터 환경을 보유한 테스트베드”라며, “피지컬 AI가 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더불어민주당 손명수·정진욱·한민수 의원 공동 주최로 열렸으며, 한국통합물류협회 주관, 휴머노이드 M.AX 얼라이언스 후원으로 마련됐다.
피지컬 AI, 물류 산업 전환 이끈다
피지컬 AI는 현실 세계의 물리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하며 직접 행동까지 수행하는 AI 기술로, 기존의 디지털 전환(DX)을 넘어서 AI 중심의 운영 체계 전환인 AX(AI Transformation)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구 실장은 발표에서 ▲AI 기반 의사결정으로 운영되는 ‘지능형 물류센터’ ▲로봇 자동화를 통한 물류공정 고도화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수배송 최적화 전략 등을 주요 AX 추진 과제로 소개했다.
“물류는 피지컬 AI 도입 최적 산업… 전 산업 확산 기대”
CJ대한통운은 AI 기반 물류 전환을 위해 ‘물류 AI 얼라이언스’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로보티즈·레인보우로보틱스(로봇 하드웨어), 에이딘로보틱스(로봇핸드), 리얼월드AI(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등과의 협업을 통해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전방위 협력 생태계를 조성 중이다.
CJ대한통운은 이번 세미나에서 “AI 기반 물류혁신은 제조·유통 등 물리적 이동이 필요한 전 산업의 혁신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공급망 효율성 강화, 인건비 절감, 배송서비스 고도화 등의 연쇄 효과도 기대했다.
산·학·관 전문가 대거 참석… 정책 연계 논의도 활발
이번 세미나에는 CJ대한통운 외에도 장영재 KAIST AI연구소 소장, 장병탁 서울대 교수, 손동신 LG CNS 로봇담당위원 등이 발표자로 참여했으며, 국토부·산업부·과기정통부 관계자들과 민간 전문가들의 종합토론도 함께 진행돼 정책 연계 및 민관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CJ대한통운은 AI 기술이 물류 현장에 실질적으로 접목되는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국내 물류산업이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기반 운영 체계로 진화할 수 있도록 선도적 역할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