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이 북미 지역 선주로부터 원유운반선 2척을 2,901억원에 수주했다. 선박은 2029년 1월까지 순차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 계약으로 올해 누적 수주액은 56억 달러에 이르렀다. 이 가운데 상선 부문이 48억 달러로 연간 목표 58억 달러의 83%를 달성했으며, 해양 부문은 8억 달러 규모의 해양생산설비 예비작업에 이어 최근 미국 델핀에서 수주의향서(LOA)를 받아 목표 달성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선종별 누적 실적은 LNG운반선 7척, 셔틀탱커 9척, 컨테이너선 2척,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11척, 해양생산설비 1기 예비작업 계약 등 총 32척이다. 현재 수주잔고는 269억 달러 125척으로 안정적인 일감이 확보돼 있다. 회사 관계자는 원유운반선의 노후선 교체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며 국내외 조선소와의 협력을 통한 유연한 생산 체계를 바탕으로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부산항만공사는 11월 5일부터 7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2025 상하이 국제 크루즈 써밋에 공식 초청돼 글로벌 선사 및 주요 항만과 기항 증대와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고 7일 밝혔다. 부산항은 전년 대비 크루즈 실적 증가와 CIQ 기관과의 출장 선상 심사 운영으로 관광 시간 연장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해외 파트너십 우수상을 2년 연속 수상했다. 부산항만공사 간주태 부사장은 로얄캐리비안 인터내셔널 아시아 본부 지난 리우 회장과 MSC 크루즈 관계자 등을 만나 부산항 크루즈 터미널 서비스 개선 방향을 설명했다. 특히 항만 시설 확충 계획과 2026년 24시간 터미널 운영 체계 시범 운영 추진 등 구체적 계획을 공유하며 선사와의 협력 강화를 모색했다. 상하이 우송코 크루즈 터미널 개발 유한공사와의 면담에서는 한중 크루즈 터미널 간 네트워크 강화를 논의했다. 양측은 한류 콘텐츠를 연계한 테마 크루즈 상품 개발과 운항 정보 공유 확대에 뜻을 모아 지속 가능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부산항의 올해 크루즈 실적은 약 210항차와 24만 명 방문이 예상되며 내년에는 230항차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부산항만공사는 글로벌 선사 및 주요 항만과의 협력을 통해
클락슨리서치 집계에 따르면 2025년 10월 전세계 선박 수주량은 291만CGT(118척)로 전월(437만CGT) 대비 33%, 전년 동월(471만CGT) 대비 38%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213만CGT(98척, 73%), 한국이 52만CGT(9척, 18%)를 기록했다. 척당 환산톤수는 한국 5.8만CGT, 중국 2.2만CGT로 한국이 2.6배 높았다. 올해 1~10월 누계 수주는 3,789만CGT(1,392척)로 전년 동기(6,649만CGT, 2,768척) 대비 43% 줄었다. 이 가운데 한국은 806만CGT(183척, 점유율 21%), 중국은 2,239만CGT(895척, 59%)를 기록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5%, 52% 감소했다. 10월 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1억 6,779만CGT로 전월 대비 5만CGT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10,196만CGT(61%), 한국 3,428만CGT(20%)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로는 한국이 50만CGT 증가하고 중국은 63만CGT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한국이 346만CGT 줄고 중국은 824만CGT 늘었다. 선가 흐름은 보합권이다. 10월 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84.87로 9월(185.58)
CJ대한통운이 7일 공시한 잠정 실적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매출은 3조666억원, 영업이익은 147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1%, 영업이익은 4.4% 늘었다. 택배 O-NE 부문은 매출 9650억원으로 7.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28억원으로 16.6% 성장했다. 소비심리 회복과 주 7일 배송 서비스인 매일오네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물량이 반등했고, 당일·새벽배송 및 풀필먼트 등 신사업 매출이 확대됐다. 계약물류 CL 부문은 매출 8613억원, 영업이익 55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2.1%, 영업이익 7.8% 증가로 3자물류 신규 수주와 생산성 혁신 프로젝트에 따른 운영 효율화가 외형과 수익성을 동시에 견인했다. 글로벌 부문은 매출 1조330억원으로 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01억원으로 29% 줄었다. 관세 인상 등 글로벌 무역환경 악화에 따른 포워딩 업황 둔화의 영향이 컸다. 다만 회사는 4분기 이후 관세 안정화, 초국경 전자상거래 CBE 확대, 해외 계약물류 성장세를 바탕으로 실적 개선을 전망했다.
포항지방해양수산청은 11월 6일 포항 영일만항 해경부두 축조공사를 준공했다고 밝혔다. 동해 해역의 구조와 경비 대응력을 높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주권 수호 태세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사업은 2021년 8월부터 2025년 11월까지 총사업비 439억 원을 투입해 영일만항 내 해경 전용 부두를 신설한 것으로, 안벽 총 길이는 640m다. 부두는 3천 톤급을 포함해 최대 9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세부 규모는 1구간 3천 톤급, 2구간 1천 톤급, 3구간 5백 톤급 선박 접안을 기준으로 구성했다. 구조나 경비 상황 발생 시 출동 시간을 단축해 해상 치안과 인명 구조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시공을 맡았고 건설사업관리는 아라기술 등에서 수행했다. 국책계획 반영과 설계를 거쳐 추진됐으며, 2011년 제3차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 고시와 2019년 제2차 신항만건설 기본계획 반영을 거쳐 2020년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한 뒤 2021년 8월 착공했다. 이재영 포항지방해양수산청장은 “국민과 어업인이 안전하게 바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영토 수호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장시간 과로 운항 위험 커진다 MTIS 주의 알림 연내 도입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이 최근 3년간 어선 운항이력 약 100만 건을 분석한 결과, 5톤 이상 어선에서 운항 시간과 거리가 늘어날수록 안전사고 위험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은 이를 바탕으로 최근 30일 누적 운항 시간과 운항 거리가 위험 기준을 넘으면 휴식과 안전 점검을 안내하는 ‘운항패턴 기반 안전사고 주의 알림’을 올해 안에 모바일 앱(MTIS)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공단 분석에 따르면 안전사고가 발생한 5톤 이상 어선의 월평균 운항시간은 274시간으로 미발생 어선(126시간)보다 2.2배 길었고, 운항거리는 1,599km로 미발생 어선(778km) 대비 2.1배 많았다. 톤급별로는 5~10톤 미만 어선이 운항시간 2.3배(102→231시간), 운항거리 1.8배(580→1,021km) 많았고, 10톤 이상 어선은 운항시간 1.6배(186→301시간), 운항거리 1.5배(1,268→1,958km) 많았다. 위험 임계점도 확인됐다. 5~10톤 미만은 월평균 138시간 또는 884km를 넘기면 안전사고 발생률이 약 10배(0.2%→2.4%) 상승했고, 10톤 이상은 월평균 298시간 또는
한국해운조합이 해외 대응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11월 3일부터 사흘간 일본 닛폰살비지를 방문했다. 조합은 이번 현장 교류를 통해 해상사고 대응 역량을 높이고 한일 간 실무 협력 채널을 넓히겠다는 방침이다. 닛폰살비지는 1893년에 설립된 해난구조 전문기관으로 인명 구조, 선박 인양, 구난 예인, 오염 방제, 난파선 제거 등 서비스를 수행해왔다. 부산과 제주, 울산 등 국내 주요 항구와 인접해 있으며 한국 선박 관련 구난과 해상 클레임 처리 실적이 250건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2023년 11월 1일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조합 가입선박의 해상사고 발생 시 신속한 클레임 서비스 제공, 선박 가압류 방지와 해제를 위한 보증장 제공, 상호 교류 확대 등을 이어왔다. 조합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해외 전문가와의 협업을 정례화하고, 해외사고 시 법적 분쟁과 클레임 지연, 선박 압류 위험을 줄이는 지원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조합은 해외 클레임 처리 역량 제고와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을 통해 조합원사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구난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이 11월 6일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열린 제40차 해양사고방지세미나에 참석해 준해양사고 공모전 수상자에게 포상하고 해양사고 예방과 체계적 대응 강화를 당부했다. 이번 세미나는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이 후원하고 한국해운협회와 해기사협회를 포함한 18개 기관이 주관했으며 약 200명이 참석했다. 김 차관은 격려사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존재 이유라며 해양수산부는 체감도 높은 해양사고 예방대책을 마련하고 시행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최초의 해저도시 인천에서 시작한다 연 3,224만 명의 관광객 유치, 경제적 효과 18조 원, 8.1만개의 일자리 창출 해양, 환경, AI, 로봇, 조선, 소재, 토목, 건축, 기계, 에너지, 의학, 기후, 지질, 바이오, 정보통신 등 우리나라의 최첨단 공학기술 총동원 인천상륙작전으로 유명한 항구도시 인천이 이 세상 어디에도 없는 세계 최초의 해저도시로 태어나기 위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한국스마트해양학회(회장: 임현택)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원장:김웅서)은 12월 21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2층 세미나실에서 『미래 물의 도시, 인천해저도시 건설을 위한 당면과제 1』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해양수산부와 인천광역시가 후원하였다. 먼저, 인천해저도시 전도사인 임현택 한국스마트해양학회 회장과 울산해저도시 핵심연구자인 한택희박사(해양과학기술원)가 각각 인천 및 울산해저도시 건설에 관한 기조발표를 하였다. 기조발표에 이어 지역전문가(박정숙 인천시의원), 해운항만(청운대 김학소 교수), 해양환경(인천대 이희관 교수), 도시공학(인하대대학원 전찬기 교수), 디자인(이병주 PK 회장), 법률(양희철 해양과기원 소장), 건축(이소민 건축가), 도시재생
한국항만물류협회 스마트항만시대 항만물류업계 발전 필요 한국항만물류협회(회장 김종성)는 항만하역시장 안정화와 항만물류업계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지난 6월 15일(화) 협회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김종성 회장은 항만물류업계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선·화주의 최저가 경쟁입찰과 업체 난립에 따른 과당경쟁, 수년째 계속되는 물동량 정체로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하면서, 항만하역시장 안정화와 경영수지 개선을 위해 협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은 언론의 적극적인 관심과 여론 형성을 통한 업계의 인식개선 및 참여 확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하였다. 이 날 간담회에서는 항만물류업계의 현안 사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질의응답이 오고 갔다. Q. 취임하신 지 2년이 지났는데 회장직을 맡아오면서 느낀 소감을 말씀해 주십시요? A. 국내외 항만이 빠르게 스마트항만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협회가 선도적으로 대처하고, 회원사의 권익향상, 항만하역시장의 안정화와 항만물류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자리인 만큼 막중한 책임을 느끼고 있으며, 향후에도 항만물류업계 발전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Q. 협회의 당면 현안과 향후 사업계획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