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휴그룹「TNWA」, 한진해운 및 UASC와 협력...유럽 서비스 다변화 및 영업력 강화
현대상선(www.hmm21.com)이 세계 주요 선사들과 협력하여 유럽의 미개척 지역 공략에 나선다.
현대상선이 속한 제휴그룹인「TNWA(The New World Alliance, 현대상선, MOL, APL)」는 최근 물동량이 급증하고 있는 동지중해 및 흑해 지역과 아시아의 주요 항만을 연결하는 신규 컨테이너 항로를 개설한다고 4일 발표했다.
TNWA는 국내의 한진해운 및 쿠웨이트의 UASC와 함께 2,500-2,700 TEU (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급 컨테이너선 8척을 투입하여 상하이,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 주요 항만과 지중해 이집트의 다미에타 항, 흑해 연안의 터키,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등을 연결하는「아시아-동지중해,흑해 서비스(EBX, East Mediterran- ean,Black Sea Express)」를 다음달 초 개시한다.
특히 현대상선이 이번에 국내 한진해운과 공동으로 항로를 개설하는 것은 1985년 미주항로 공동운항 이후 22년만이어서 국내외의 주목을 받고 있다.
동지중해 및 흑해 지역은 올해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이 EU에 가입하는 등 대부분의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두드러지고 있어, 현대상선의 이번 항로 개설은 잠재력이 큰 신흥시장 선점을 위한 교두보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 현대상선 측 설명이다.
현대상선은 아시아와 구주 간에 총 11개의 항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3개의 항로가 아시아와 지중해 지역을 직접 연결하고 있다. 현대상선은 이번 항로 개설로 유럽 노선이 한층 다변화되고, 특히 동재중해 및 흑해의 주요항만에 직기항하게 됨으로써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현대상선 측은『이번 항로 개설로 동유럽 및 남유럽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이를 계기로 유망한 틈새 시장 개척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상선은 이번 항로 개설에 앞서 상반기에「아시아-구주」항로에 8척의 6,800 TEU 급 신규선박 투입, 이탈리아 법인 설립, 동유럽 내 직통 열차 서비스 개통 등 다각적인 투자를 통해 유럽 지역의 영업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 참고 자료
○ 신규항로=EBX service(Mediterranean,Black Sea Express)운항구간
상하이(Shanghai, 중국)-홍콩(Hong Kong)-얀티안(Yantian, 중국)-싱가포르(Singapore)-다미에타(Damietta, 이집트)-이스탄불(Istanbul, 터키)-코스탄자(Constanza, 루마니아)-일리체프스크(Illychevsk, 우크라이나)-이즈미르(Izmir, 터키)-다미에타(Damietta, 이집트)-제다(Jeddah, 사우디아라비아)-싱가포르(Singapore)-상하이(Shanghai, 중국)
○ 현대상선 기존 「아시아-지중해」항로
- AMS(Asia-Meditteranean Service)=상하이-닝보(중국)-샤먼(중국)-카오슝(대만)-홍콩(중국)-얀티안(중국)-싱가포르-제다(사우디아라비아)-포트사이드(이집트)-제노아(이탈리아)-리보르노(이탈리아)-포스(프랑스)-포트사이드(이집트)-제다(사우디아라비아)-싱가포르-홍콩-상하이
- Loop M=상하이-닝보(중국)-서커우(중국)-홍콩-싱가포르-포트클랑(말레이시아)-다미에타(이집트)-제노아(이탈리아)-바르셀로나(스페인)-포스(프랑스)-다미에타(이집트)-싱가포르-홍콩-상하이
- UAM (Asia-Mediterranean Service)=상하이-닝보(중국)-카오슝(대만)-홍콩-얀티안(중국)-탄중펠레파스(말레이시아)-콜롬보(스리랑카)-타란토(이탈리아)-제다(사우디아라비아)-콜롬보(스리랑카)-탄중펠레파스(말레이시아)-카오슝(대만)-얀티안(중국)-홍콩
TNWA (The New World Alliance)는 APL, MOL, 현대상선이 1998년 결성한 선사간 전략적 제휴그룹으로서, 100여 척 이상의 컨테이너 선박을 투입하여 18개 항로를 개설해 공동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