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효과·유가하락 영향 수입감소 10년만에 최고
3월 무역수지는 46억1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의 흑자를 기록했다.
2일 지식경제부의 ‘3월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283억7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21.2% 줄었지만 수입이 36.0%나 급감한 237억6000만 달러에 그친데 힘입어 46억1000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3월 무역흑자는 월단위로는 사상 최고치로 이전 최고치였던 1998년 4월의 38억500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것이다.
지식경제부는 3월 무역흑자가 전월(29억3000만 달러)보다 크게 확대된 것은, 수출이 선박류 수출호조 지속, 환율효과, 수출금융 및 마케팅 지원 확대 등으로 크게 증가한 반면,수입은 유가·원자재 값 하락 등으로 증가폭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출은 13대 주력품목 중 선박류가 61.0%의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액정디바이스는 한 자릿수 감소세(-7.8%)로 축소됐다.
수출은 지난 1월에 저점을 기록한 이후 증가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루단위 수출규모를 보면, 1월 9억9000만 달러에서 2월 11억6000만 달러로 늘어난데 이어 3월에도 11억8000만 달러로 소폭 증가했다.
수입은 대부분 품목이 감소하면서, 1998년 10월(-39.3%)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단가하락과 수요감소 등으로 원유 수입액이 작년 동기 대비 60% 줄어든 것을 필두로, 석유제품(-32%), 가스(-17%), 철강(-32%) 등 원자재 수입액이 모두 큰 폭으로 떨어졌다.
자본재도 자동차부품 수입액이 58%나 급감하는 등 전체적으로 31% 줄어들었고 소비재 수입감소율도 30.8%에 달했다.
지식경제부 이동근 무역투자실장은 “수출은 오는 3분기까지 -20% 내외를 기록하고 4분기에 상대적으로 수출이 잘돼 연간 전망으로는 작년 동기비 -5%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연간 전체 무역흑자는 당초 전망치인 120억 달러보다 많은 200억 달러로 올릴 전망”이라고 말했다.
지식경제부는 글로벌 금융위기 악화 및 수요 급감에 따른 기업들의 수출리스크 확대에 적극 대응하고 무역금융 등 수출애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수출보험 및 해외마케팅 지원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고 수출입상황 모니터링과 수출총력지원체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