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영업이익 74억원 적자에서 125억원 흑자로 전환…매출도 12.6% 증가
컨테이너 시장 불황 대비 유조선분야에서 많은 수익올려 영업이익 흑자전환
노 정익사장 "2분기 적자에서 흑자전환는 상당히 의미있는 일, 최선 다할 것"
현대상선(hmm21.com)이 3분기 영업이익을 125억원 시현해 지난 2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9일 현대상선에 따르면, 3분기 매출은 1조 2,331억원으로 2분기 매출 1조 951억원에 비해 12.60%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분기 74억원 적자에서 125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다만, 경상이익은 2분기 82억원에서 38억원으로 줄었으며, 당기순이익은 2분기 46억원에서 10억원 손실로 집계됐다. 또한 부채비율은 191.89%로 전분기 비해 9% 낮아졌다.
이 같은 실적에 대해 현대상선 측은 "전세계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불황으로 다른 해운회사의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금번 3분기에도, 현대상선은 유조선 부문에서 많은 수익을 올려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했다"며,"컨테이너선 부문의 불황에 대비해 그동안 유조선 사업 비중 확대와 석유제품선, LPG선 등 특수선 분야에 진출해 비 컨테이너선 부문의 비중을 높여 균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2분기 유조선 운임지수(WS, World Scale, 중동-한국간 초대형 유조선 기준)가 4월 65.00포인트, 5월 78.75포인트, 6월 111.50포인트로 낮은 수준에서 맴돌았던 반면에, 3분기에는 7월 128.75포인트, 8월 131.25포인트, 9월에는 116.50포인트로 상승한 바 있다.
한편, 해운업 호황기였던 2005년도 3분기 실적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2005년 3분기 매출은 1조 2,012억원, 영업이익은 1,214억원, 경상이익은 467억원, 당기순이익은 457억원을 시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현대상선은 ▲ 전 세계 해운시장의 불황이 아직 지속되고 있으며, ▲ 고유가로 인한 비용증가로 채산성 악화, ▲ 특히 초대형선의 대거 투입으로 컨테이너 수송운임이 하락한 것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현대상선 노정익(盧政翼) 사장은 실적 발표와 동시에 홈페이지에 띄운 「주주여러분께 드리는 글」을 통해 "지난 2분기 영업손실에서 3분기에 흑자 전환한 것은 이익 규모에 상관없이 상당히 의미있는 일"이라고 밝히고 "불황속에서도 흑자 경영체제를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만큼 남은 4분기와 내년까지 이러한 추세를 계속 이어가도록 임직원들과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반기 경영실적(전기 대비)
구 분 |
2006년 3분기 |
2006년 2분기 |
증감율 |
매 출 |
1조 2331억원 |
1조 951억원 |
12.60% |
영업이익 |
125억원 |
-74억원 |
흑자전환 |
경상이익 |
38억원 |
82억원 |
-53.96% |
당기순이익 |
-10억원 |
46억원 |
적자전환 |
* 2분기 대비 경상이익이 감소한 이유는 상반기 대비 외화평가이익 감소가 주원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