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는 8일 자동차, 조선, 반도체, 일반기계 등 12개 주력산업에 대해 2006년 12월 13일부터 30일까지 '2006년 실적 및 2007년 전망' 조사·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06년에는 원화절상·유가상승 등 대외여건 악화에도 불구, 수출증가세가 지속되어 조선, 반도체 등 수출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양호한 생산증가세 시현했으며, 2007년에는 대부분 업종이 생산증가세를 지속하나, 세계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증가세 둔화, 내수 회복세 미흡 등의 영향으로 전년에 비해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산업별로는 세계시황 호조를 바탕으로 조선, 반도체, 일반기계 등이 두자릿수 생산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도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된다.
전년에 이어 계속 활발한 산업 : 반도체, 조선, 일반기계, 디스플레이
반도체는 아시아 신흥시장의 PC수요 지속 성장, Window Vista 출시에 따른 D램 및 Nand Flash 수요확대로 최초로 연간 수출 400억달러를 돌파할 전망(수출 410억달러)이며, 조선은 안정적 노사관계 및 세계 1위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2006년 사상 최초로 ‘연간 수출 200억달러’를 달성한 것에 이어 2007년에도 사상 최고치 갱신(270억달러)을 지속할 전망이다.
일반기계는 국내·외 설비투자 확대로 수요증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생산제품의 다양화, 업체간 협력 확대를 통한 생산성 향상 등으로 생산·내수·수출 모두 두자릿수 증가세를 지속, 연간 생산 규모가 90조원에 이를 전망이며, 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의 8세대라인 가동 등 패널 생산력 증대, 세계 수요 확대 등으로 생산·수출 모두 호조세를 보일것으로 예상된다.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할 산업 : 자동차, 철강, 중전기기·전선
자동차는 내수시장의 점진적 회복 기대와 세계 자동차 수요 증가로 ‘자동차 생산 400만대 시대’가 개막될 전망이다.
철강은 포스코 파이넥스 설비 가동, 현대제철 A열연 B전기로 재가동 등 신규 설비 가동으로 생산 증가세가 확대될 것이며, 중전기기·전선은 국내·외 안정적 수요 증가를 바탕으로 보합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전년의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반전되는 산업 : 석유화학
석유화학은 수요를 상회하는 생산능력 향상으로 인해 세계 석유화학 경기 침체에도 불구, 설비증설 및 가동률 상향 조정으로 생산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반전될 예상이다.
전년의 감소세가 이어지는 산업 : 정보통신, 가전, 섬유, 시멘트
정보통신은 저가형 제품 수요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면서, 첨단 제품을 위주로 하는 국내업체 등의 수출 및 생산 감소로 예상된다.
컴퓨터는 Windows Vista 출시(2007년1월) 등 해외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해외 생산 증가로 수출 감소세 지속(△5.4%)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전은 디지털 TV의 세계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은 소폭 증가할 전망이나 관세장벽·채산성 악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들의 해외 생산시설 이전이 가속화되어 생산 감소세가 지속될 것이며, 섬유는 가격경쟁 격화로 인한 해외 생산시설 이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생산·수출 감소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시멘트는 건설경기 침체, 저가 수입시멘트 물량유입으로 인한 국내공급과잉 심화로 생산·내수 감소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 국내외 시장변화에 대한 점검을 바탕으로 산업 활력 제고를 위한 대책 수립·추진은 다음과 같다.
① 안정적 수출성장 기조 정착
ㅇ 신시장 개척, 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 지원 강화 및 무역인프라 구축 등 선제적 수출대응 전략 마련
ㅇ 전자무역 서비스 등 무역인프라 조성 및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해외마케팅 지원 확대
ㅇ 오일달러 환류를 위해 해외플랜트 수주확대를 지원하고, 수출보험 확대 및 신규보험 도으로 수출보험의 수출지원 기능 제고
ㅇ 수출채산성 악화를 겪는 수출 中企에 대한 환위험 관리 능력 제고 지원 및 금융지원 추가 확대
② 설비투자 확대를 위한 기업 친화적인 환경 조성
ㅇ 범정부적으로 마련한 ‘기업환경개선종합대책(’06.9.28)’의 과제들을 차질없이 이행·점검하고, 산업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여 추가과제를 상시적으로 발굴
ㅇ 지방기업에 인력·자금·입지 등 지원 확대, 지역별 투자애로 요인 해소 등을 통해 ‘기업하고 싶은 지역 만들기’추진
③ 산업구조 고도화로 주력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
ㅇ 혁신형 중소기업 및 부품·소재산업 육성을 통해 국내산업의 허리 강화하여 中企 전반의 활력 제고 및 미래성장동력을 확충
ㅇ 기술, 부품·제품 특성 가치사슬 형태 등 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산업별혁신시스템’구축을 통해 제조산업 혁신
ㅇ 제품의 고부가치화 및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비즈니스 서비스 산업 등 신성장 분야 육성강화를 통해 산업의 경쟁력 강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