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6.8℃
  • 맑음강릉 7.4℃
  • 연무서울 9.8℃
  • 맑음대전 7.5℃
  • 맑음대구 8.5℃
  • 맑음울산 8.7℃
  • 맑음광주 8.1℃
  • 맑음부산 12.1℃
  • 맑음고창 3.5℃
  • 맑음제주 9.8℃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4.9℃
  • 맑음금산 4.6℃
  • 맑음강진군 5.8℃
  • 맑음경주시 5.8℃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국립수산과학원 적정수온 고려해 김 채묘시기 늦출 것을 당부

국립수산과학원, 적정수온 고려해 김 채묘시기 늦출 것을 당부
일부 해역 영양염 부족으로 황백화 현상 발생할 수도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서장우)은 올해 고수온 영향과 해수 내 영양염 부족으로 양식어가에 김 종자붙이기(채묘) 시기를 늦춰줄 것을 당부하였다.


해조류연구센터는 최근 5년간 지역별 수온과 올해 수온 변화를 비교한 결과 9월말부터 바다 수온이 김 채묘의 적정수온인 22℃이하로 내려갈 것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올해는 평년에 비해 9월초까지 고수온이 유지되었으므로 김 채묘시기를 적정수온에 맞춰 예년보다 늦추는 것이 좋다고 한다.


우리나라 주요 김 양식장인 충남 서천, 전북 군산, 전남 고흥지역 등에서는 김 성장에 필요한 용존무기질소 성분 등 영양염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 부족에 따른 김 황백화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 지역에도 김 채묘시기 조절을 당부하였다.


최근 김의 조기생산을 위해 적정수온(22℃) 보다 높은 수온에서 채묘를 시도하는 양식어가들이 증가하고 있다.


적정수온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고, 영양염이 풍부할 때 채묘를 해야 양식초기 때 김 황백화 등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하동수 해조류연구센터장은 “올 여름철은 기록적인 고수온과 강수량 부족 등 양식어장에 환경변화가 많았던 만큼 김 양식장 환경모니터링을 통해 김 채묘시기와 영양염 등 관련정보를 양식어가에 신속히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미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