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개척, 국가 신성장동력 되나… 정부, 전문가들과 본격 논의
북극항로 개척, 국가 신성장동력 되나… 정부, 전문가들과 본격 논의전문가 조찬 간담회 개최… 주요국 대비 현황 점검 및 향후 전략 모색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7월 3일 오전 ‘북극항로 전문가 조찬 간담회’를 개최하며 북극항로 개척을 본격적인 정책 의제로 끌어올렸다. 이날 간담회는 경제2분과 주최로 열렸으며, 연구기관 전문가와 북극항로 시범운항 경험자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북극해의 해빙 추이와 주요국의 진출 현황, 우리 정부의 과학·운영 역량 등을 점검했다. 특히 2016년 북극항로 시범운항 사례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경험과 과제를 공유하며, 향후 재운항에 필요한 인프라와 제도 정비 필요성도 함께 논의되었다. 국정기획위는 이번 논의 내용을 토대로 북극항로 개척을 차기 국정과제로 공식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북극항로의 전략적 가치… “물류·조선·금융 연쇄 효과 기대” 북극항로는 기존의 수에즈 운하를 경유하는 항로 대비 아시아-유럽 간 해상 거리를 최대 40%까지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류 효율이 크게 향상될 뿐 아니라, 한국 조선업과 해운·보험 등 연관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윤준병 중소벤처·농식품·해양 소분과위원장은 “북극항로 개척은 단순한 항로 신설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신성장동력 확보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그는 조선·금융 등 후방산업과의 연계를 강조하며, 종합적 정책 접근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러시아·중국·일본의 선제적 진출… 정부 차원의 선제적 대응 시급 이미 러시아는 북극해 북동항로(Northern Sea Route, NSR)를 국가 전략으로 채택하고 자국 쇄빙선을 활용한 정기 운항을 추진 중이다. 중국도 ‘빙상실크로드’ 전략 하에 자국 기업의 북극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일본 역시 LNG 수송을 중심으로 해상운송 확대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의 북극 전략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북극항로는 단순한 물류 경로를 넘어선 지경학적 자산”이라며, “지금이 아니면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북극항로는 기후위기와 지정학이 얽힌 복합 전략지대다. 얼음이 녹으며 항로는 열리지만, 국제 갈등의 수위도 높아진다. “기회는 냉정한 판단에서 비롯된다”는 말처럼, 지금이야말로 정부의 종합적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