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9.0℃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9.4℃
  • 맑음대전 10.1℃
  • 구름조금대구 8.8℃
  • 맑음울산 6.8℃
  • 흐림광주 9.6℃
  • 맑음부산 8.5℃
  • 구름많음고창 6.8℃
  • 구름조금제주 8.9℃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8℃
  • 구름조금금산 9.6℃
  • 구름조금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6.1℃
  • 맑음거제 9.5℃
기상청 제공

[2025년 2월 25일 KOBC 제공] 태평양 운임 강세 지속 대서양 시장은 관망세

[2025년 2월 25일 KOBC 제공] 태평양 운임 강세 지속 대서양 시장은 관망세
철광석 신규 화물 증가로 태평양 운임 상승세 브라질발 물동량 유지, 대서양 시장은 혼조

KOBC(한국해양진흥공사) 2월 25일 건화물선 시황 리포트에 따르면, 태평양 시장에서는 철광석 신규 화물 유입 증가로 운임이 상승하고 있는 반면, 대서양 시장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

태평양 시장에서는 중국의 철강 수요 증가로 인해 철광석 화물 유입이 활발해지면서 spot 선박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항로에서 운임이 꾸준히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특히 호주와 브라질발 화물의 수송이 증가하면서 선박 가동률이 높아지고 있다.

대서양 시장은 미국 걸프(USG) 지역에서 화물 유입이 다소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수급 균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시장 참가자들이 관망하는 분위기다. 브라질에서는 선주와 용선주 간 호가 격차가 확대되면서 성약 활동이 둔화됐지만, 신규 화물 유입이 지속되며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긍정적이다.

북대서양 시장에서는 남미발 화물 증가가 운임을 지지하는 요소로 작용했으나, 최근 수요 유입 속도가 둔화되면서 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남미는 화물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KOBC의 건화물선 지수(KDCI)와 주요 선형별 운임 지수도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Panamax와 Supramax 선형에서 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강세가 두드러졌다. 브라질발 철광석 항로 역시 일정 수준의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한편, 컨테이너선 시장에서는 춘절 이후 수요 회복이 지연되며 운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전주 대비 9.31% 하락했으며, 아시아-북유럽 항로에서는 화주들이 추가 운임 하락을 기대하며 장기 계약 체결을 미루고 있다. 이에 따라 선사들은 장기 계약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22%의 할인을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국제유가 변동성도 해운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러시아 남부 송유관이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을 받으며 원유 공급 차질이 우려됐지만,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원유 공급이 지속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미국과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종전 논의를 시작하면서 러시아산 석유 공급 재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

프랑스 항만 노조가 2월 말 48시간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유럽 항로 물류 차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로테르담 항만에서는 선박 입항이 5~9일가량 지연되는 등 항만 혼잡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태평양 시장에서는 철광석 신규 화물 유입이 증가하며 spot 선박 부족 현상이 지속돼 운임이 상승하고 있다. 반면, 대서양 시장은 미국 걸프(USG) 지역에서 화물 유입이 늘어났음에도 수급 균형이 유지되면서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선주와 용선주 간 호가 격차가 확대되며 계약 체결이 둔화됐지만, 신규 화물 유입이 지속되면서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긍정적이다. 남미 지역은 원활한 화물 유입으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KOBC 운임 지수도 Panamax와 Supramax 선형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컨테이너선 시장은 춘절 이후 수요 회복이 지연되면서 운임이 하락하는 추세다. 국제유가는 러시아 원유 공급 차질 우려 속에서 변동성을 키우고 있으며, 프랑스 항만 노조의 총파업 예고로 유럽 항로에서 물류 차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해운 시장은 중국 경기 부양책과 국제 원자재 가격 변화에 따라 추가 조정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전반적으로 해운 시장은 중국 철광석 수요 증가와 국제 원자재 물동량 증가로 일부 운임이 상승하는 가운데, 컨테이너선 운임 하락과 유럽 항만 이슈 등 여러 변수가 맞물리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시장은 중국 경기 부양책의 구체적인 내용과 국제 원자재 가격 변화에 따라 추가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미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