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해운 저시황 대응 ‘긴급상황 점검회의’ 개최…컨 운임, 팬데믹 이전 수준 회귀
3개월 새 45% 하락한 컨테이너 운임…민관 합동 ‘비상대응TF’ 가동 논의
최근 컨테이너 해상운임의 급락세가 지속되면서, 정부가 해운시장 안정화 대응에 본격 나섰다. 해양수산부는 3월 26일(수), 서울 해운빌딩에서 긴급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국적선사 및 관계기관과 함께 시황 악화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HMM 등 9개 주요 국적선사와 한국해운협회,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이 참석해, 최근 급격히 하락 중인 컨테이너 해상운임의 동향과 전망을 공유하고 선사의 대응 전략을 점검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실제 컨테이너 해상운임은 지난해 12월 2,373포인트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올해 1월 2,243포인트, 2월 1,691포인트, 3월 7일에는 1,436포인트, 3월 14일 1,319포인트, 3월 21일 기준으로는 1,293포인트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 3개월 사이 45% 가까운 하락폭으로, 팬데믹 이전인 2019년 평균 수준과 유사한 수치다.

업계에서는 “운임은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갔지만, 연료비와 인건비 등 운영비는 크게 상승한 상황이라 사실상 적자 국면”이라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번 하락세는 2016년 한진해운 파산 시기의 저시황보다 더 빠르고 가파르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시에는 수년에 걸친 공급과잉이 주된 원인이었지만, 이번에는 미·중 무역갈등, 지정학 리스크, 글로벌 수요 위축 등 복합 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송명달 해수부 차관은 “시황 장기화에 대비해 ‘저시황 비상대응TF’ 구성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며,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시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 시 금융지원 및 정책 수단을 동원해 선제적으로 시장 안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