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 ‘미국 상호관세’ 현장대응반 본격 가동… 수출입 혼란 최소화 총력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따라 부산항의 물류 대응체계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수출입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상호관세 현장대응반’을 본격 가동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2일 미국이 발표한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따른 대응으로, 미국은 4월 5일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기본관세 10%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4월 9일부터는 특정 70여 개국에 대해 국별 상호관세 25%를 적용할 예정이었다. 다만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서는 90일간 시행이 유예돼 한국 등 교역국들은 오는 7월 초까지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는 준비 기간을 확보한 상태다.
이 같은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는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기업들에게 가격 경쟁력 저하와 생산기지 이전 리스크 등 복합적인 부담을 초래할 수 있어, 이에 따른 항만 차원의 조기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BPA는 이에 따라 선사와 터미널 운영사 등과 협력해 대응반을 구성하고, 미주 항로의 물동량 흐름과 항로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비롯해 미주행 선박의 하역 효율성 제고, 선석 운영 최적화, 신항 배후단지 내 임시장치장 운영 등 화물처리 유연성 확보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BPA가 운영 중인 미국 및 동남아 물류센터를 활용해 수출입기업의 보관 및 이송 지원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부산항은 연간 약 200만TEU의 대미 수출입 물동량을 처리하며 이는 전체 물동량의 87%에 달한다. 더불어 연간 205만TEU 규모의 미주 환적화물이 중국, 일본, 동남아 등에서 집결되어 미국으로 향하고 있어, 미국 관세 정책 변화는 부산항의 운용 안정성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으로 여겨진다. 특히 부산항은 아시아-미국 항로상 ‘라스트 포트(Last Port)’로 기능하고 있어 관세 이슈에 따라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송상근 BPA 사장은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도 부산항의 수출입 기능과 국제 환적 기능이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와 업계가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며 “실효성 있는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항만공사는 앞으로 정부, 지자체, 선사, 운영사 등과의 공동 협의체 운영을 강화하고, 정책 건의와 연계 지원을 통해 대응력을 한층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