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국고여객선 7척 본격 건조…민간자본 활용한 ‘펀드 방식’ 첫 도입
전액 국비 방식 한계 극복…섬 주민 교통권 확보 위한 선박 대체 건조 박차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가 민간자본을 활용한 새로운 방식으로 국고여객선 건조에 나선다. 해수부는 올해부터 ‘국고여객선 펀드’ 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5월부터 관계기관과의 업무협약 체결 및 입찰 공고 절차에 들어간다고 30일 밝혔다.
‘국고여객선 펀드’는 연안여객선 중 수익성이 낮아 국가가 운영비 전액을 보조하는 국가보조항로(현재 29개)에 투입되는 선박을 대체 건조하는 사업이다. 기존에는 전액 국비로 선박을 건조했지만, 재정적 한계로 제때 교체가 어려워지자 올해부터는 국비(30%)와 민간자본(70%)을 결합한 펀드 방식이 새롭게 도입됐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노후 국고여객선 5척을 대체 건조하고, 예비선 2척을 추가로 신조해 총 7척의 선박 건조를 추진한다. 이들 선박은 향후 20년간 용선(임대) 형태로 운항되며, 이후 선박 소유권을 이전받는 구조다.
해수부는 지난 1월 펀드 운영기관으로 세계로선박금융㈜을 선정했으며, 오는 5월 1일에는 선박이 투입될 국가보조항로 관할 5개 지방해양수산청(인천, 대산, 군산, 목포, 마산)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후에는 조달청의 입찰시스템인 ‘누리장터’를 통해 선박별 설계·건조를 위한 민간 입찰 공고도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강도형 장관은 “민간자본과의 협력으로 국고여객선 건조에 속도를 내, 도서지역 주민의 교통 접근성과 이동 편의성을 높이겠다”며 “섬 주민들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해상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선박 건조에 차질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