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선박 매매시장 ‘둔화’… 고가 선가 속 실수요 기반 거래 유지
한국해양진흥공사, 시장 구조 변화와 전망 담은 동향 보고서 발간
컨테이너선 수요 위축·신조선 발주 감소… 공급 과잉 우려 속 보수적 매입 전략 강조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 이하 해진공) 해양산업정보센터가 2025년 7월 25일, 올해 상반기 선박 매매(S&P) 시장의 주요 흐름과 구조적 변화, 향후 전망을 종합적으로 담은 ‘2025년 선박 매매시장 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선박 매매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거래 건수, 총 재화중량톤수(DWT), 총 거래 금액, 건당 평균 금액 등 모든 지표가 하락하며 전반적인 둔화세가 이어졌다. 특히 중고선 시장에서는 수요 위축과 매도세 강화, 평균 선령 증가가 복합 작용하면서 매수자 우위 시장 구조가 더욱 뚜렷해졌다.
주요 선종에서도 거래 회복 조짐은 나타나지 않았다. 선가는 여전히 고가를 유지하고 있지만 유효 수요는 상당 부분 소진된 것으로 분석됐다. 컨테이너선은 장기 정기선 계약 중심의 운용 특성과 고가 매입으로 인한 수익성 부담이 겹쳐 거래량이 제한됐다. 벌크선은 Supramax와 Panamax 선형 중심으로 실수요에 기반한 선별적 거래가 이어졌고, 탱커선은 VLCC 등 대형 선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견조한 수요가 지속됐다.
신조선 발주 동향 또한 감소세가 뚜렷했다. 올해 상반기 신조선 발주는 전년 동기 대비 약 43% 줄었으며, 친환경 선박에 대한 관심은 지속됐지만 높은 건조비와 조선소 공급 능력 한계로 인해 실질적인 발주로 이어지는 경우는 제한적이었다.
보고서는 해운시장에 영향을 주는 외부 변수들도 함께 짚었다. 세계 경제 성장 둔화에 따른 해상교역 위축, 신조선 인도에 따른 실질 선복량 증가 등 공급 측 요인이 중고선 시장에 구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중고선가는 단기 운임 및 투자심리에 민감하게 반응해 급등락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올해는 대부분의 선종에서 공급 증가율이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돼 운임 하락 압력과 선가 조정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해진공은 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전략보다는 실수요에 기반한 보수적인 접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고선 시장의 민감성과 높은 변동성을 고려할 때, 정교한 리스크 분석과 수급 전망을 토대로 한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해진공 해양산업정보센터 박종연 센터장은 “선박 매매시장은 운임, 규제, 기술 변화, 선령 구조 등 복합 요인이 작용하는 복잡한 시장”이라며 “이번 보고서가 업계의 합리적인 투자 판단과 전략 수립에 실질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를 포함한 해진공의 주요 발간 자료는 해운정보서비스 홈페이지(kobc.or.kr/ebz/shippinginfo) 및 카카오톡 공식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