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해양폐기물 250kg, 어업용품 100개로 재탄생…ESG 경영 실천하는 '온 더 보트' 프로젝트

해양폐기물 250kg, 어업용품 100개로 재탄생…ESG 경영 실천하는 '온 더 보트' 프로젝트
KOMSA·사회적기업·어촌계 공동 추진…탄소 425kg 감축, 순환경제 실현 가시화
해양 폐그물로 작업복·안전용품까지 제작…어업인 참여 기반 ESG 모델로 주목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해양폐기물을 자원으로 되살리는 선도적 ESG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공단은 18일, 전남 고흥군 죽도·지죽도 어촌계와 함께 해양폐기물 250kg을 어업용품 100개로 재가공하는 ‘온 더 보트(On the Boat)’ 자원순환 활동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활동은 공단의 ESG 사회공헌 브랜드 ‘온물결(ON-WAVE)’의 일환으로, 사회적기업 스몰액션㈜,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앵커조직과 협력해 이뤄졌다. 공단은 단순한 폐기물 처리에 그치지 않고, 지역 공동체가 함께 참여하는 자원순환 구조를 구축해 지속가능한 ESG 경영 모델로 확장하고 있다.

재활용 대상이 된 폐그물과 로프는 지역 어업인들이 자발적으로 수거한 해양 쓰레기다. 수거된 해양폐기물은 어업용 플라스틱 운반대 50개, 접이식 어구박스 50개로 재탄생했다. 공단은 이번 재활용으로 약 425kg의 이산화탄소(CO₂) 배출이 줄었으며, 이는 성숙한 나무 약 18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과 맞먹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공단에 따르면 해양폐기물 자원화의 필요성은 해양사고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집계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5~2024년) 선박의 해양 부유물 감김 사고가 88% 증가했고, 전체 해양사고의 11.2%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감김 원인은 대부분 무단 투기된 폐그물, 어망, 로프 등으로 확인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해양 안전성과 환경 보호는 물론, 현장 어업인의 실질적 편의 개선에도 기여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공단은 이 같은 성과를 토대로 ▲폐그물 재활용 작업복 제작 ▲업사이클링 안전용품 개발 등 다양한 후속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가 공공부문 ESG 경영 확산을 적극 추진하는 가운데, KOMSA는 지역 기반 협력모델을 통해 현장 실행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이번 활동은 어촌 공동체와 함께 한 실천적 ESG 사례로, 해양 환경 보호는 물론 안전과 생계 지원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실현했다”며 “앞으로도 공단의 사회가치 브랜드 ‘온물결’이 어업 현장에서 체감되는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단은 바다를 살리는 작은 실천이 해양산업 전반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신념 아래, 민관 협력 기반의 ESG 실천 모델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