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도시 활력, 해양문화자원에서 찾는다
KMI, 지속가능한 해양문화 도시 조성 위한 정책 방안 제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이 연안도시의 해양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경제·문화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보존 중심으로 인식되던 해양문화자원을 지역사회와 연계해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으로 전환하는 정책 대안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KMI는 ‘해양문화자원을 활용한 연안도시 활력 증진 방안 연구’를 통해 연안도시의 해양문화자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 경쟁력 강화에 연계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발표했다. 연구는 정부가 「제1차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활성화 기본계획(2021~2025)」을 수립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본 토대가 되는 실태조사가 이뤄지지 못한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 추진됐다.
분석 결과, 전국 74개 연안 시군구 기준으로 평균 27.8건의 해양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동해안의 고성·양양·강릉·삼척, 남해안의 창원·거제·통영·여수, 서해안의 강화·태안·보령·신안군 등이 유산 자원 밀집도가 높은 지역으로 꼽혔다.
연구는 이러한 자원적 특성과 공간적 분포를 토대로 네 가지 정책 전략을 제시했다. ▲해양문화자원의 체계적 관리 및 활용 전략 수립 ▲해양문화 기반 도시재생 모델 구축 ▲지역주민 참여형 해양문화 프로그램 개발 ▲해양관광 및 창의산업 연계 강화가 주요 골자다. 특히 지역이 보유한 해양문화자원을 활용해 도시 정체성을 강화하고, 이를 지역경제 발전으로 연결하는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구책임자인 이슬기 전문연구원은 “해양문화자원은 지역 정체성과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조정희 KMI 원장은 “해양문화자원은 우리 연안지역이 가진 소중한 자산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때 지역경제 활성화와 문화적 정체성 강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며 “이번 연구가 연안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해양문화 정책 수립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