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등 협력업체 상생 강화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9월 3일 본사 2층 대강당에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및 물가변동 교육과 협력업체 간담회를 개최하고, 공공부문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협력업체와의 상생 강화를 위한 행보에 나섰다.
이번 행사는 9월 1일부터 5일까지 개최되는 ‘2025 BPA ESG·혁신 WEEK’의 일환으로, BPA 내부 직원 대상 교육과 협력업체 대상 소통 간담회로 구성되었다. 교육에는 한국장애인개발원과 한국경제개발연구원 전문가가 초빙되어 각각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와 ‘물가변동 반영 제도’를 주제로 강의가 진행되었다.
중증장애인생산품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공공기관이 연간 총구매액의 1.1% 이상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하는 품목으로,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복지 증진을 위한 제도이다. 물가변동 제도는 「국가계약법 시행령」에 따라 계약 체결 이후의 물가 상승분을 계약금액에 반영해 협력업체의 적정 이윤을 보장하는 장치다.
이어 열린 간담회에서는 건설, 용역, 물품 등 다양한 분야의 BPA 협력업체들이 참석한 가운데, 우선구매제도, 상생결제 등 전자대금 지급제도와 BPA의 인권경영 방침이 소개됐다. 공사는 안전한 현장 조성과 청렴한 계약 문화 확산을 위해 협력업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도 함께 진행했다.
BPA는 우선구매제도를 통해 사회적 약자기업의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있으며, 상생결제를 통해 하도급 기업을 포함한 협력업체의 대금 수령 안정성을 제고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는 공정거래 기반 조성과 협력사의 지속가능한 경영 지원을 위한 BPA의 주요 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다.
송상근 사장은 “협력업체들과의 지속적인 소통과 제도적 지원을 통해 상생과 안전, 청렴의 문화가 부산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