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북항, 오염퇴적물 정화사업 5년 만에 준공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2021년부터 추진해 온 부산항 북항 오염퇴적물 정화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9월 5일 준공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화사업은 2017년 실시된 해양오염퇴적물 분포현황조사에서 북항 일대의 정화복원지수(CIHC)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본격 추진되었다. 북항 수질을 개선하고 재개발에 따른 관광항 기능 강화를 위한 목적이다. 정화복원지수는 크롬, 구리, 수은, 납 등 유해화학물질 11종의 오염도를 수치화해 정화 필요성을 판단하는 지표다.
총 35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이번 사업은 북항 내 항로 및 재개발 구역을 제외한 35만6천여 제곱미터 면적에서 오염퇴적물 약 45만3천㎥를 수거·처리하며 마무리됐다. 2021년 1단계 사업을 시작으로 연차별로 구역을 나누어 단계적으로 추진됐으며, 2022년 중간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일부 구간의 오염도가 자정능력을 상실한 수준(CIHC 4 이상)에서 회복 가능 수준(2.5)으로 개선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정화사업은 해양수산부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이 시행하고, 해양환경공단이 위탁 수행하였다. 사업 종료 이후에도 해저 퇴적물의 오염도 변화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2026년부터 최소 3년간의 사후 모니터링이 계획되어 있다.
오행록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이번 정화사업이 북항의 해양환경 개선은 물론, 재개발을 통한 친수공간 조성과 관광 활성화 기반 조성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부산항이 역사성과 경제성을 갖춘 대표 항만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