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7위 양식대국 100년 발자취, 수산양식 역사서 발간 사막에서 키운 새우‧김수출 3억불 달성까지 수산양식 역사 집대성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가 세계 7위의 수산양식 생산 종주국이 되기까지 지난 100년 동안의 기술 개발과 발전 등 수산양식의 역사를 집대성한 역사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단일 품목으로 수출 3억불을 달성한 김 등 주요 양식대상품종 85종의 연도별 기술개발과 보급 과정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으며, 역사적 자료와 사진 등을 포함해 수산양식의 역사를 총망라했다. 우리나라의 ‘수산양식’ 정의는 1953년 최초로 제정된 「수산업법(1953.09.09. 법률 제295호)」 제8조에서 ‘일정한 수면에서 구획 기타 시설을 하여 양식하는 어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수산양식의 발달단계는 양식기술개발과정과 수산정책이 함께 변화하고 있어, 1945년 이전은 양식 대상종의 초기 개발 단계→ 해조류의 확대 개발 및 천해 간석지 개발 이용단계(1946∼1975)→양식 신품종의 개발과 신기술의 보급단계(1976∼1990)→양식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단계(1991∼현재)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주요 품종별 양식기술 개발 연혁에서는 양식 시작시기
해양부 3월 어식백세 수산물 홍어․가오리․주꾸미 선정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독특한 맛으로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홍어·가오리와 피로회복과 시력에 좋은 주꾸미를 3월의 어식백세 수산물로 선정했다. 홍어는 수분이 많고 단백질이 풍부하여 칼슘의 좋은 공급원이며, 성장기 어린이의 뼈 성장과 성인의 골다공증 예방에 좋은 효과가 있다. 홍어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조성을 보면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라이신, 루신 등의 순으로 많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이 부족하기 쉬운 라이신과 트레오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가오리는 주성분이 단백질, 지질, 수분,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어류에 비해 지질의 함량이 적은 반면, 단백질의 함량이 높다. 또한, 곡류에 부족하기 쉬운 아미노산인 트레오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의 영양을 보충하는 중요한 식품이다. 주꾸미는 낙지와 꼴뚜기의 중간 크기로 낙지보다 살이 연하고 꼴뚜기보다 쫄깃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예로부터 ‘봄 주꾸미, 가을 낙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봄철에 맛과 영양이 뛰어난 주꾸미는 피로회복과 시력에 좋은 타우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저칼로리 식품으로
서해안 유류피해지역 갯벌에서 낙지 복원한다 충남 가로림만에 낙지 복원방안 마련하기로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강준석) 서해수산연구소(인천시 소재)는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피해지역 어업인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서해안 갯벌의 고소득 품종인 낙지 자원을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충남지역의 낙지 어획량은 유류피해 사고 이전에는 약 1,100톤이었으나 갯벌 생태계가 복원된 2014년에도 어획량이 383톤으로 감소해, 충남 가로림만을 중심으로 낙지자원의 조기 복원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서해수산연구소에서는 낙지로 유명한 전남 무안군, 신안군의 낙지 산란장의 서식환경과 유사한 충남 가로림만에 산란이 임박한 암컷 어미를 방양할 예정이다. 낙지는 갯벌에 서식하는 칠게·바지락 등을 먹고 성장하며, 굴을 파고 들어가 알을 붙여 산란하는 종으로 1마리의 암컷이 70여개의 적은 수의 알을 낳는다. 산란량이 적어 한번 자원량이 감소하면 자연적으로 회복하는데 시일이 많이 소요되어 빠른 시일에 복원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관리와 보호가 필요하다. 서해수산연구소는 가로림만에서 낙지 복원사업을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모델로, 다른 지역에도 접목해 낙지 자원 복원 지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백재민 양
첨단 유전자 진단키트로 수산생물 전염병 조기에 막는다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강준석)은 양식생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 등 수산생물전염병 10종을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첨단 유전자 진단키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진단키트는 전염병이 발생해 1차 검사에서 양성으로 의심되면, 최종 확진까지 3∼7일간 소요되는 기간을 최대 3시간 이내로 신속·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개발된 키트는 빠른 시일 내 국가방역기관인 국립수산과학원 소속의 7개 방역센터와 지자체 소속의 11개 병성감정실시기관에 진단기술 교육을 통해 지원·보급할 예정이다. 수산생물전염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확산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염병의 병원체를 신속하게 진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는 ‘수산생물전염병검사요령’에 유전학적 진단법으로 유전자증폭법(PCR법)과 염기서열분석(sequencing)을 사용하고 있으나 진단기간이 3∼4일 정도 소요되고 있어, 신속한 방역조치에 애로사항이 있었다. 이에 국립수산과학원은 수산생물전염병 발생이 의심스러운 경우, 양식생물의 질병감염 부위를 1차 검사(PCR법) 후 이를 검증용 PNA 기반의 액상형 키트로 제작해
김 수출 3억불 시대 5년 만에 3배로 껑충 2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5회 김의 날 행사 개최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2월 2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김 산업 관계자들과 함께 ‘김 수출 3억불 달성 기념 및 제5회 김의 날’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김 수출 등 김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한 유공자에 대한 해양수산부장관 표창 수여와 함께 김 복쌈 만들기, 김 요리 경연대회, 김 제품 및 사진 전시회 등이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 앞서 명동거리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조미김과 스낵김을 나눠주며 우리나라의 다양한 김 제품과 우수성을 알리는 홍보행사도 진행한다. 김에는 각종 비타민 이외에도 단백질과 섬유질, 칼슘, 철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김의 포피란 성분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 성인병 예방 효과도 있다. 우리나라 김은 세계 96개국(’10년 64개국)에서 다양한 제품으로 수출되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2010년에 김 수출 1억불을 달성한 이후 5년만인 2015년에 3배 성장한 3억불 수출을 달성하는 비약적인 성장을 보였다. 2015년 수출량은 총 5,144만속으로 이를 길게 이어 붙이면 지구를 27바퀴 돌 수 있고, 지구와
친환경 멍게양식으로 산업 안정화 방안 마련 멍게양식 현장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어업인 간담회 개최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강준석)은 부가가치가 높은 주요 수산물인 멍게의 양식 현안문제를 해결하고 산업적 안정화 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 2월 17일 경남 통영에서 멍게 수협 및 양식어업인, 지자체, 연구소 등 50여명이 참석해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멍게는 우리가 즐겨먹는 수산물의 하나로 어류 양식과 달리 먹이를 인위적으로 공급하지 않고 친환경 양식자재를 사용해 양식하고 있어, 최근 젊은 2세대 양식업 종사자의 증가로 산업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우리나라 멍게양식의 기술수준, 양식산업의 문제점 및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설명하고 양식현장의 현안사항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우선, 멍게 양식산업 기반 마련을 위해, 크기별 선별기와 알멍게 탈피기의 자동화 등 작업장 시설 현대화 그리고 다양한 가공제품개발에 따른 논의가 있었다. 또한 멍게 생산성 향상을 위한 조기채묘기술 개발•보급과 건강종묘생산 매뉴얼 보급 요청과 양식어장 초과시설에 대한 처리방안 등의 정책 제안이 있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멍게 양식의 주요 현안 사항인 물렁증으로 인한
국립수과원 휴대용 자동 어종 판별기 올해 내 상용화 추진 개발에 필요한 주요 원천기술 민간업체에 이전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강준석)은 육안으로 식별이 곤란한 어종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휴대용 자동 어종 판별기’를 개발해, 민간업체에 기술을 이전함으로써 곧 상용화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의 실험실에서 유전자 분석법을 이용해 평균 3~4일 이상 걸리는 것을 수산물이 거래되는 현장에서 1시간 안에 종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 본 기술을 이전 받은 티엔에스(주)(대표 김봉석)는 휴대용 어종 판별기의 상용화를 위해 1년 안에 제품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이 개발한 휴대용 자동 어종 판별기술은 BT, IT 및 나노 기술의 융복합으로 유전자분석기능을 손바닥 크기의 랩온어칩에 집약시켜 규모와 시간을 대폭 단축해, 비전문가도 사용 가능하도록 했다. 어류의 살점을 떼어내 휴대용 어종판독기를 가동하면 추출된 유전자의 증폭/혼성화/검출 과정을 거쳐 어종을 판별할 수 있으며, 결과가 화면에 표시되어 사진으로 촬영•기록할 수 있다. 붕장어•전어•숭어•조피볼락 등 약 130여종의 Probe-DNA가 탑재된 종 판독 칩이 있어
미래 친환경 첨단양식 시스템 개발 책자 발간 해수 순환여과양식시스템 개발 현황과 전망 기술지 발간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강준석)은 친환경 첨단양식시스템 기술의 대내외적 교류와 확대를 통해 산업화를 앞당기고자 「해수 순환여과 양식시스템 개발 현황과 전망」책자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본 책자에는 ▲순환여과양식의 필요성 ▲해외 기업형 순환여과양식시스템 상용화 사례 ▲한국형 해수 순환여과양식시스템 개발과 산업화 전략 ▲국립수산과학원 개발 해수 순환여과양식시스템 기술 소개 ▲국내외 해수 순환여과양식시스템 개발 동향과 비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유수(流水)식 육상수조 양식시설의 현대화 촉진 및 친환경 첨단양식 기술인 ‘해수순환여과양식시스템’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해수 순환여과양식시스템은 육상수조에 바닷물을 넣고 여과처리해 재사용하는 것으로 태풍•냉수대 등의 자연재해에 따른 바닷물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가 없고, 외부로부터 질병 감염 방지는 물론 양식장의 배출수를 최소화시켜 환경오염을 줄이는 장점이 있어 해외 양식선진국에서 경쟁적으로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해산어 육상 양식장에 사용하는 대용량 펌프의 전력사용량을 70%
2015년 참치(가다랑어) 어획량 23만 9천톤 역대 최대 지난해 대비 생산량 4%↑ 전체 원양어업은 다소 주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2015년 원양어업 참치(가다랑어) 생산량 가집계 결과 23만8,732톤을 생산하여 전년 22만9,588톤에 비해 4.0% 증가하여 역대 최대 어획고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가다랑어의 어획량이 증가한 요인은 지난해 상반기에 엘리뇨의 영향으로 태평양에서 참치어장 확대에 따른 어획증가로 추정했다. 다만, 참치(가다랑어) 어가는 국제유가 하락, 태국 등 참치 주요 수출국의 수요 감소로 인해 2014년 대비 10.3%가 줄었으며, 생산금액은 7.2%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전체 원양어업의 생산량은 57만7,355톤(1조214억원)으로 2014년 66만9,140톤(1조2,752억원)에 비해 13.7% 감소했으며, 최근 5년간 579,423톤(1조4,338억원) 평균 생산량 보다는 0.3% 감소했다. 주요 품목별 원양어업 생산량은 가다랑어 23만8,732톤(4%), 오징어류 15만772톤(△9.7%), 황다랑어 5만2,940톤(△17.3%), 남빙양새우(크릴) 2만264톤(△70%), 명태 2만12톤(△3
KMI 해외시장정보팀 2015 글로벌 김 가공품 출시 동향 자료집 발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성귀, 이하 KMI) 해외시장정보팀이 수산업계의 수출 확대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2015 글로벌 김 가공품 출시 동향』 자료집을 발간했다. 『2015 글로벌 김 가공품 출시 동향』은 전 세계 17개국 약 900여 개의 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굴 가공품, 김 가공품, 수산물 가공품 등 총 3편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다. 『2015 글로벌 김 가공품 출시 동향』은 전 세계 17개국 KMI 해외시장정보팀 상품 크리에이터들이 현지 유통업체 MD 등을 통해 조사한 인기 품목 등 340여 개의 김 가공품에 대한 정보를 가공 유형별로(스낵김, 조미김, 마른김, 기타김) 수록했다. KMI 해외시장정보팀은 본 자료집을 통해서 전 세계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 상품 형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원산지, 포장형태, 중량, 성분 및 함량, 상품표시 언어, 인증마크 등)를 알 수 있어서 수산업계가 현지 수출국 맞춤형 상품 개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5 글로벌 김 가공품 출시 동향』자료집은 홈페이지(h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