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노멀 시대 한국선박관리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5회째를 맞은 한국선박관리포럼, 12월 10일 온라인 개최 ‘2020 한국선박관리포럼’이 12월 10일(목) 한국선박관리포럼 홈페이지와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개최되었다.올해로 5회째를 맞은 한국선박관리포럼은 부산광역시, 부산항만공사,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가 공동주최하며, 스마트 선박의 등장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선박관리산업에 찾아올 변화에 대응하고자 각계 전문가와 함께 선박관리산업의 미래를 전망하고 뉴 노멀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온라인 참가자들과 의견을 나누었다. 포럼은 온라인으로 실시간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와 ‘스마트 선박’을 키워드로 △한국선박관리산업의 새로운 발전 방향(이창희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뉴 노멀 시대와 한국 선박관리산업의 미래(진호현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교수) △한국의 차세대 해기(海技) 전문인력 육성 필요성과 방안(양희복 (사)한국해기사협회 상무) 세 개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특히 이번 행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만큼 크로마키 촬영기법을 활용하여, 보다 생생하게 주제발표가 진행되었다. 주제발표 후에는 김영모 한국선장포럼 사무총장을 좌장으로 발제연사와 2019년도 포럼 발표연사(장은
한국선급, 대한용접․접합학회와 용접기술발전 협약 체결한국형 용접전문기술사 양성에 맞손…용접 품질 국제 경쟁력 제고 기대 한국선급(KR, 회장 이형철)은 대한용접․접합학회(KWJS, 회장 김종도)와 최근 한국선급 본사에서 양사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용접기술인력 양성 및 기술정보 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본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한국용접전문기술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공동 개발하고 대한용접․접합학회에서 주관하는 학술대회에 참여하는 등 최신 용접 기술정보 교류를 통해 용접 품질의 경쟁력을 높이고 용접 산업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용접 품질은 거대한 선박을 건조 시 부분 단위로 블록(Block)을 따로 제작하여 도크(Dock)에서 용접을 하기 때문에 조선 생산기술 중에서도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중요한 분야이다. 최근에는 선박 뿐 아니라 풍력발전, 플랜트 및 건설 분야에서도 그 중요성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체계적인 용접품질 관리 및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ISO 3834 인증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선급과 같은 국제공인기관으로부터 ISO 3834 용접품질관리시스템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요소 중 하나는 용접품질 관리활동을
친환경 선박 제조기업 ㈜빈센, 총 30억원 규모 투자 유치현대기술투자, 수림창업투자, 캐피탈 원, 한국대안투자자산운용,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슈미트, 인포뱅크 등 7곳에서 총 30억원 투자유치 슈미트, 인포뱅크는 초기 8억 투자에 이어 후속 투자 친환경 전기·수소 소형 선박을 제조하는 ㈜빈센(VINSSEN, 대표 이칠환)은 최근 현대기술투자, 수림창업투자, 캐피탈 원, 한국대안투자자산운용,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슈미트, 인포뱅크 등 7곳의 투자사로부터 신규자금 3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특히 이 중 슈미트와 인포뱅크는 이미 8억원을 투자했던 초기 투자사로 후속 투자를 결정했다. ㈜빈센은 2017년 10월에 설립하여, 전남테크노파크 조선산업지원센터에 위치한 3년 미만의 벤처·스타트업으로, IMO(국제해사기구) 발표를 시작으로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탄소배출 규제관련 법과 정책 등의 강화로 인해 친환경 선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전기·수소 추진 시스템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선박을 개발하고 있다. ㈜빈센은 자체 개발한 전기추진 레저보트(V-100D) 외에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강원도에서 진행중인 규제자유특구(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게츠너사 실로머(Sylomer) 베어링, 경비정 진동 최소화 게츠너사(Getzner Werkstoffe)최첨단 소재 실로머, 싱가포르 선박 회사 Lita Ocean 이 건조한, 6 척의 경비정 조타실 소음 수준을 79.2dB 로 낮추는 데 일등공신 Buers(오스트리아), 싱가포르: Lita Ocean 은 조선 및 해양 서비스 부문을 선도하는 회사로서 싱가포르에 소재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해운항만청에서 발주한 6 척의 경비정을 최근에 건조했다. 17 미터 길이 선박의 조타실에 소음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해, 해군건축가와 엔지니어는 Getzner Werkstoffe 의 고탄성 폴리우레탄 소재인 실로머에 의존했다. 싱가포르 조선 및 해양 서비스 회사인 Lita Ocean 이 2019 년 여름 싱가포르 해운항만청으로부터 17 미터 길이의 경비정 6 척 건조 주문을 받았을 때, 관련 조선기사는 조타실 베어링에 Getzner Werkstoffe 의 진동 방지 소재를 사용할 것을 신속하게 제안했다. 당사에서 자체 개발한 폴리우레탄 소재의 실로머로 조타실을 분리하면 소음 수준이 획기적으로 낮아져 표준을 준수하는 작업 환경이 보장된다고 Getzner Werksto
전기선박 신산업 육성, 민간과 함께 한다지자체·산업계·전문기관 등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회 발족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올해부터 추진하는 전기추진 차도선 개발 및 건조사업과 관련하여 지자체, 산업계, 전문기관 등이 참여하는 ‘전기선박 신산업 육성 민·관 협의회’를 구성하고, 3일(수) 목포에서 첫 협의회를 개최한다. 해양수산부는 차도선(카페리선)이 배출하는 오염물질과 소음, 진동, 악취 등을 저감하여 국민들의 건강 증진과 연안 대기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올해부터 순수 전기추진 차도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024년까지 전기추진 차도선 개발 및 실증이 완료되면, 우리나라 연안을 운항하는 차도선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보급하고, 어선 등 다른 선박에 대해서도 전기추진선 개발 및 보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전기선박 신산업은 선박의 건조(조선업), 활용(해운업), 기자재(배터리, 모터, 배전시스템), 시스템 운영․관리(배터리 충전, 유지․보수, 모니터링) 등 다양한 연관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기선박 보급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 중소 조선소를 비롯해 해운사, 중소 기자재업체 등 관련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최초 LNG벙커링 전용 선박 건조 시작2023년부터 연안선박에 안정적으로 LNG 공급 예정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국내 최초로 연안선박에 액화천연가스(이하 LNG)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500m3급 연안선박용 LNG 벙커링 전용선박’을 건조한다고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가 올해부터 선박 연료의 황산화물 함유기준을 0.5% 이하로 강화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연료인 LNG를 사용하는 선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LNG 추진선박 도입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LNG 벙커링 산업의 마중물 역할을 하기 위해 2018년부터 ‘LNG 벙커링 핵심기술 개발 및 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 중 ‘연안선박 맞춤형 LNG 벙커링 시스템 개발사업’은 국내 연안 LNG 벙커링 수요 증가에 맞추어 해상 LNG 벙커링 설비를 개발하고 실증하는 사업으로, 지난 달에 선박 설계가 완료됨에 따라 5월 7일(목) 선박의 건조 시작을 알리는 강재절단식(Steel Cutting)을 개최했다. 이번에 건조되는 선박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포스코, EK중공업(주), 트랜스가스솔루션, 마이텍, 발맥스기술, 서울라인 등이 참여하여 순수
중앙오션, 연 1100만불 규모의 조선기자재 말레이시아 수출 조선기자재 제조전문기업 중앙오션이 말레이시아 조선기자재 및 에너지 사업분야에 본격 진출한다. 중앙오션은 10일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기업인 페트로나스(PETRONAS) 산하 정부 등록업체인 OBM테크닉(OBM TECHNIC SDN. BHD), 테크노 어날리시스(TECHNO ANALYSIS SDN. BHD) 및 로컬 조선소인 케이 엔지니어링(KAY ENGINEERING SDN. BHD)사와 조선기자재 수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중앙오션은 2020년까지 1100만불(USD), 한화로 약 130억원 규모의 조선기자재를 말레이시아에 수출하게 된다. 이와 별도로 약 47만5000불 규모의 선박용 선실 내장재 공급계약도 체결했다. 중앙오션은 1999년 설립 이후 경남 진해, 김해, 고성 등지에서 조선기자재 및 전동기, 발전기를 제작•판매하고 있는 조선기자재 전문제조기업이다. 2001년 코스닥에 상장된 이후 차별화된 기술력과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국내 대형조선사들과 안정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우수 협력사로 인정받아 왔다. 중앙오션은 일본 선급을 포함, 세계 3대 선급협회인
지마린서비스-투그램시스템즈 선박엔진고장예측시스템 도입으로 고장 사전진단 성공 지마린서비스-투그램시스템즈가 공동개발한 ‘선박엔진고장예측시스템(e-CBM)’이 고장 사전진단에 성공했다. 선박엔진은 핵심기관이며, 동시에 고장 발생률이 높은 기관이다. ‘선박엔진고장예측시스템(e-CBM)’은 선박 엔진에서 추출한 각종 정보를 빅데이터 기술로 분석하여 현재 상태를 진단, 고장을 비롯한 미래의 변동 상황을 예측하여 고장이 나기 전에 정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빅데이터 솔루션이다. 이 획기적인 시스템은 현대글로비스 선박 13척에 탑재되어 운영 중에 있다. 본 시스템이 적용되기 전에는 선박 기기마다 예방정비카드를 마련하여 가동시간을 계산한 뒤, 일정 가동시간이 도래하면 고장 유무에 상관없이 해당 기기를 정비하는 ‘예방정비시스템(PMS)’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은 정상 작동 중인 부품을 교체할 때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고, 작동 시한이 도래하지 않아도 고장이 나는 경우가 있어 한계점을 노출하여 왔다. 지마린서비스에 따르면, ‘선박엔진고장예측시스템(e-CBM)’을 통해 현대글로비스 선박의 핵심 기관인 엔진에 대한 이상 징후를 미리 파악했고, 이를 토대로 엔진 장비 중
선박안전기술공단 해양경찰청 해양안전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선박안전기술공단(이사장 이연승)은 16일 세종 본부에서 해양경찰청과 해양안전분야 협력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수상레저기구 안전관리와 함정 건조사업의 기술협력 등 협업을 통해 해양사고 예방 및 관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이연승 이사장, 조현배 해양경찰청장 등 1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협약 주요내용은 ▲ 동력수상레저기구의 안전검사 ▲ 선박의 안전사고 예방 및 관리 ▲ 해양경찰 함정 건조 사업 ▲ 해양 안전 분야 학술자문 및 연구지원에 관한 사항으로, 세부 이행방안은 실무자 협력회의를 통해 결정할 계획이다. 공단 이연승 이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의 협력체계를 보다 공고히 하고, 국민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마련 및 사고 예방 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친환경 선박기술 선도 조선해양응용실증기술센터 설립 한국해양대ㆍ한국선급ㆍ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26일 MOU 체결 국내 조선업계가 친환경 기술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는 가운데 한국해양대학교(총장 박한일)가 한국선급(회장 이정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원장 김정렬)과 함께 친환경 선박 기술 연구, 시험, 실증, 인증을 하는 기술센터 설립 작업을 시작했다. 한국해양대ㆍ한국선급ㆍ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은 26일 오전 한국해양대 본부에서 ‘조선해양응용실증기술센터(Marine Application Substantiation Technology Center·MASTC)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기술센터는 한국해양대 캠퍼스 내에 설립되고 세기관이 친환경선박 공동연구 및 기술개발에 적극 협력하게 된다. 한국해양대는 친환경 선박 기자재의 연구개발ㆍ실증ㆍ교육ㆍ인력양성을 책임지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과 한국선급은 기자재 시험과 인증을 각각 담당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국책과제를 공동 수행할 계획이다. 기술센터에는 국내 최고의 친환경 선박엔진 배기가스 저감장치 실증 장비(650kW 선박엔진, 보기설비, 배기가스분석시스템 등)와 국내 최초 친환경 전기추진선박 기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