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하루만에 전임직원 임금반납에 98% 동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고통분담에 생산직을 포함한 전임직원 한마음 한뜻으로 나서 회사 경영정상화를 위해 전임직원을 대상으로 임금반납 동의를 밟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이 동의절차 실시 하루만에 98% 임직원의 동의를 받았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회사 조기 경영정상화를 위해 지난 6일 노사가 고통분담에 동참하기로 결정한 이후, 전직원을 대상으로 임금반납 동의절차를 지난 10일부터 진행한지 하루만에 총 10,265명 중 10,037명 약 98%가 임금반납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임원은 36명 전원, 사무직은 4,135명중 4,022명 97.3%가 동의했다. 또 창사이래 최초로 임금반납에 참여한 생산직은 노조전임자 전원 포함 6,094명중 5,979명 98.1%가 동의했다. 미서명자 228명도 현재 해외출장, 파견, 무급휴직자 등 물리적으로 동의서 제출이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조만간 100%에 가까운 동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급여반납은 경영정상화시까지 지속될 예정이며, 4월 급여부터 적용된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회사 경영정상화라는 목표를 위해 짧은 시간이었지만 절박한 심정으로 임금반납에 동의해
팬오션㈜ Issuer Rating 신용등급 A-(안정적)으로 신규 평가 한국신용평가(www.kisrating.com)는 4월 7일 팬오션㈜(이하 ‘동사’)의 Issuer Rating(원화 및 외화 기준) 신용등급을 A-(안정적)으로 신규 평가했다. 신용등급 결정의 주요 평가요소 및 구체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다각화된 화주와의 장기계약에 기반을 둔기반한 양호한 사업 안정성 ▲장기운송계약의 우수한 영업 수익성 vs SPOT 부문의 수익 가변성 ▲회생 종결 후 재무안정성 개선 및 우발채무 불확실성 대부분 해소 ▲동사 인수와 복합물류센터 투자에 따른 하림 그룹의 재무부담 장기운송계약에 기반을 둔기반한 안정적 현금흐름과 개선된 원가구조, 출자전환 및 인수대금 유입으로 보강된 재무여력을 고려할 때,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이다. 동사는 매출 기준 국내 3~4위권의 대형 해운선사로 벌크선을 위주로 현재 163척의 Dry Bulk건 등 총 191척의 선단(사선 78척, 용선 113척)을 운영하고 있다. 2013년 회생절차가 개시되었으나, 2015년 6월 하림그룹으로 인수되면서 회생절차가 종결됐다. 평가일 현재 최대주주는 동사 지분의 50.9%의 지분을 보유한 제일홀딩스㈜
㈜팬스타 황해정기선사협의회 가입 공동운항, 선복교환 등 폭넓은 서비스 가능 종합해운물류기업 ㈜팬스타(대표김현겸)는최근황해정기선사협의회(이하 황정협)로부터 가입 승인을 받았다고10일 밝혔다. 팬스타는이번 황정협 가입으로 한ㆍ중 항로 항권 확보, 타 회원사와공동운항ㆍ선복교환 등 다각적으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 팬스타 관계자는 “황정협 가입으로 화주들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이번 가입 승인을 발판 삼아 중국을 무대로 하는 사업계획을 구체화하고 영업활동도 적극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팬스타가지주사로 있는 팬스타그룹은코스닥 상장기업인 팬스타엔터프라이즈(054300)를 비롯해팬스타라인닷컴, 팬스타트리, 팬스타신항국제물류센터, 일본 현지 산스타라인 등 10여 개 법인을 보유하고 있는 종합해운물류기업이다. 팬스타그룹은현재 중국 시다오, 부산, 일본 동경을 연결하는 직항로와 부산-오사카, 부산-츠루가ㆍ가나자와 등 항로를 개설해 컨테이너, 장척화물, 산적화물 등 다양한 물류를 수송하고 있으며, 한ㆍ중ㆍ일간육해상연결고속물류운송시스템인 ‘PKLB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한편 황해정기선사협의회는 한ㆍ중간을 운항하는 선사
대우조선해양 노사 고통분담 위해 힘 합친다 생산 매진위해 진행 중인 교섭 중단 등 4가지 사항 노사 이행 2017년 흑자전환 실패시 대표이사 사임 및 전 임원 연대책임 전국의 개인 투자자들 직접 찾아가 회사 살리기 호소 대우조선해양 노사는 국민 혈세로 회사가 회생한 것에 대해 조금이나마 보답하고 회사 조기 경영정상화를 앞당기기 위해 전 임직원이 고통분담에 동참하기로 합의했다. 대우조선해양 노사는 6일 구성원들 스스로 회사의 주인이라는 생각으로 4가지 사항을 이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합의한 사항은 ▲경영정상화시까지 전 직원 임금 10% 추가 반납 ▲생산 매진을 위해 진행 중인 교섭의 잠정 중단 ▲경영정상화의 관건인 수주활동 적극지원 ▲기존 채권단에 제출한 노사확약서 승계 등이다. 이번 합의에는 생산직을 포함한 전 임직원의 10% 임금 추가 반납을 통해 고통분담에 동참하겠다는 의지가 포함돼 있다. 또 올해 생산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진행중인 단체교섭을 잠정 중단함으로써 생산에 매진하겠다는 뜻도 담겨 있다. 수년째 이어져오고 있는 수주절벽을 해소하기 위해 노동조합이 수주활동에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도 담았다. 기존에 제출한 노사 확약서를 승계하겠다고
현대중공업 중동 3개국과 협력 강화 나서 사우디•카타르•오만 주한(駐韓) 대사, 현대重 울산 본사 방문 현대重 경영진과 협력 강화방안 논의…선박 건조 현장 등 시찰 사우디 아람코와 합작조선소 건립 등 중동서 다수 프로젝트 진행 현대중공업이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오만 등 중동 3개국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4월 6일 목요일 중동 3개국 주한(駐韓) 대사 일행이 함께 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날 리야드 빈 아흐메드 알무바라키(Riyad bin Ahmed Almubaraky) 주한 사우디 대사, 모하메드 알-데하이미(Mohamed Al-Dehaimi) 주한 카타르 대사, 모하메드 살림 알하르시(Mohamed Salim Alharthy) 주한 오만 대사 일행은 최길선 회장, 권오갑 부회장 등 현대중공업 경영진과 오찬을 하며 조선 및 육•해상플랜트 분야에서 각국 간의 협력 강화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어 대사 일행은 선박 건조 현장과 엔진 공장 등을 둘러봤으며, 초대형 선박 건조기술 및 대형엔진 제작기술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5년 11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석유기업인 아람코(A
남대서양 초대형 광석운반선 스텔라데이지호 침몰 현지 언론 배가 두 동강, 선원 가족 선박 노후화 원인 폴라리스 쉬핑 스텔라 코스모호 수색팀 합류 2일 외교부 관계자에 따르면 마샬제도 선적 화물선 스텔라 데이지호가 3월31일 오후 11시20분(한국시간) 선사에 선박 침수 사실을 카카오톡 메시지로 발신한 후 연락이 두절됐다고 밝혔다. 이 선박은 지난달 26일 브라질에서 출발해 우루과이 인근 해역을 항해 중이었다. 이 선박에는 선장·기관사·항해사 등 한국인 8명, 필리핀인 16명이 탑승 중이었다. 침수 신고와 함께 연락이 두절된 후 수색 작업을 벌여 필리핀 선원 2명이 구조 됐지만 나머지 선원의 생사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4일 오전 선사인 '폴라리스 쉬핑' 부산 해사본부에서 진행된 선원 가족 브리핑에서 해양부 관계자는 "최초 조난신호 발생지점에서 북쪽으로 43.4㎞ 떨어진 가로 41.8㎞, 세로 35.4㎞의 해상으로 범위를 확대해 수색을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조류의 흐름과 조난신호(EPIRB)에 따라 수색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최초 조난신호 발생지점에서 북동쪽으로 77.2㎞ 떨어진 해상에서 4일 새벽 표류하던 구명벌(life raf
2016년 폴라리스쉬핑㈜ 결산 이날 주주총회에서 승인된 2016년 재무제표에 따르면 폴라리스쉬핑은 매출액 6,355억원, 영업이익 1,077억원의 실적을 발표하였다.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였으나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 대비 1.7% 증가한 16.9%를, 당기순이익률은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8.4%를 기록하였다. 유가하락에 따른 선박운임 감소 및 업황 불황 지속에 따른 spot 영업 축소로 매출액은 감소하였으나, 전용선 사업의 꾸준한 수익과 효율적이 선박운영의 영향으로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은 증가하였다. 작년말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 폴라리스쉬핑이 추진한 1,500억 규모의 Pre-IPO(상전 전 지분투자)는 금일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다. 이번 Pre-IPO는 지주사인 폴라에너지앤마린 주식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폴라리스쉬핑 지분을 기초자산(교환대상 주식)으로 한 교환사채(EB) 발행 형태이다. 해운업 불황 속에서도 Pre-IPO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함에 따라 연내 유가증권 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 폴라리스쉬핑이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현대상선 북중국~한국~러시아 신규서비스 개설 러 FESCO와 공동운항 3,000TEU급 컨테이너선 3척 투입 현대상선(대표이사 유창근)이 중국~러시아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현대상선은 러시아의 FESCO와의 신규 공동운항 협력을 통해 중국~한국~러시아의 주요 항을 연결하는 컨테이너 서비스를 개시한다. 현대상선은 그 동안 FESCO와 CMA-CGM 등 2개사와 함께 남중국~중중국~한국~러시아를 잇는 1개 서비스(CRS/China Russia South Service)의 공동운항을 해 왔으며, 이번 협력 확대를 통해 북중국까지 서비스 영역을 넓힌다. 신규 공동운항 서비스명은 CRN(China Russia North Service)으로 현대상선이 1척, FESCO가 2척 등 3,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선 총 3척을 투입해 매주 서비스 할 계획이다. 3월 31일 청도에서 출발하는 CRN 서비스의 기항지는 청도-상해-닝보-부산-블라디보스톡-보스토치니-부산-청도이다. 또한 현대상선은 기존 CRS(China Russia South Service) 서비스의 기항지 합리화도 개시한다. 신규 CRN노선이 부산항을 기항함에 따라 기존 부산항
한국선주협회 선박평형수처리장치 설치 금융지원 요청 선박평형수협약 발효시 국적 외항선 운항 중단 위기 한국선주협회(회장 이윤재)는 해양수산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해양금융종합센터, 한국해양보증보험에 건의서를 제출하고 해운기업에 대한 선박평형수처리장치 설치를 위한 금융지원을 요청했다. 국내 해운업계는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채택한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이 오는 9월 8일 발효될 예정임에 따라 외국항만을 기항하는 전 선박에 선박평형수처리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해운업계는 지난 2008년 9월 발발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해운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국적선사인 한진해운이 청산되는 등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국내 금융기관은 해운업을 리스크 업종으로 판단하고 신규 대출은 고사하고 운영자금까지 조기상환을 요구하는 등 금융권으로부터 엄청난 불이익을 받고 있어 선박평형수처리장치를 설치하기 매우 어려운 여건에 처해있다. 이에 선주협회는 건의서를 제출하고 “국내 민간금융권이 해운업계에 대해금융거래를 취급하지 않음에 따라 정책금융기관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며, 선박평형수처리장치 미 설치로 선박운항이 불가능할 경우 해운업계는 물론 국내 수출입화주
고려해운 임원인사 단행 -임원 선임 ▲부장 -> 상무 : 노기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