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선업, 해운 물류의 숨은 기둥…지금이야말로 지원이 필요하다연료비 부담·인력난·친환경 전환…해양진흥공사와 협력 필수 항구에서 거대한 선박이 부두에 안전하게 접안하고 출항하는 장면을 본 적이 있는가? 거기엔 예선(曳船)이 있다. 예선은 작은 선박이지만, 대형 선박을 끌고 밀어 항만 안에서 안전하게 움직이도록 돕는다. 마치 육상의 견인차처럼, 해상 물류의 필수 요소다. 그러나 정작 이 필수 산업을 떠받치는 예선업계는 지금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연료비 급등, 인력난, 친환경 규제 강화가 한꺼번에 몰아닥치면서 생존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예선업, 해운 물류의 필수 요소지만 지원은 부족항만 물류가 원활히 돌아가려면 대형 선박이 안전하게 입출항해야 하고, 이를 돕는 예선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 지원과 금융 지원은 대형 해운사에 집중돼 있고, 예선업계는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현재 가장 큰 문제는 연료비 부담이다. 국제 유가가 오를 때마다 예선업체들은 막대한 추가 비용을 감당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 보조나 금융 지원은 부족하다. 예선료를 현실적으로 조정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지만, 해운사와의 협의가 쉽지 않다. 인력난도 심각하다. 예선업은
해운업, 불황의 파고를 넘을 해법은?공급 과잉·운임 하락에 흔들리는 시장… 친환경·디지털 혁신이 해답 글로벌 해운업이 거센 불황에 직면했다. 팬데믹 특수로 급등했던 운임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공급 과잉과 경기 둔화가 맞물리며 선사들의 실적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해운업계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모색 중이다. 선박 감축, 친환경 전환, 디지털 혁신, 신시장 개척 등이 주요 대응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선박 감축과 노선 최적화… 공급 조절로 수익성 방어대형 선사들은 공급 조절을 통해 시장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머스크와 MSC는 노후 선박을 조기 퇴역시키고 신규 선박 발주를 축소하며, 비효율적인 노선을 재편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도 수익성이 낮은 노선 조정을 추진하며 선복량을 조절하고 있다. 과거 공급 과잉으로 시장이 붕괴된 경험이 있는 만큼, 이번에는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프랑스의 CMA CGM, 국내 중견 해운사인 장금상선과 고려해운 역시 선박 운항을 조정하며 실적 방어에 나서고 있다. ▲친환경 전환… 탄소 규제 대응과 비용 절감의 두 마리 토끼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면
황주홍 의원 2017년도 입법․정책개발 우수 국회의원 시상 255건 발의로 300명 국회의원 중 입법 실적 1위, 법안 가결율 33% 황주홍 의원, 국민들을 위한 민생입법 집중적으로 발굴해 입법화 노력 민주평화당 정책위의장 황주홍 의원(재선, 고흥·보성·장흥·강진군)이 국회의장이 수여하는 ‘2017년도 국회 입법 및 정책개발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됐다 국회사무처는 2006년부터 입법·정책개발지원위원회를 통해 전체 국회의원들의 법안 대표발의 및 가결(통과) 건수, 본회의 참석률 등을 바탕으로 입법 및 정책개발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입법·정책개발 우수의원'을 선정하고 있다. ‘2017년 입법 우수 국회의원'은 2017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법안 실적을 정량·정성 평가해 결정됐다. 법안 발의 건수 외에 국회 본회의 가결 건수에 따라 기본점수가 산정되는 등 법안 완성도를 높게 고려하며, 본회의 및 위원회 출석률 역시 반영됐다. 황주홍 의원은 “경제위기와 고용한파로 힘들어하는 국민들을 위해 제도를 개선하는 민생법안들을 주로 발의했다”며 “민생법안은 정당을 떠나 여야 의원들 모두 필요성을 적극 공감했었기에 본회의 통과 건수가 많아 시상을 하게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