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선업, 해운 물류의 숨은 기둥…지금이야말로 지원이 필요하다연료비 부담·인력난·친환경 전환…해양진흥공사와 협력 필수 항구에서 거대한 선박이 부두에 안전하게 접안하고 출항하는 장면을 본 적이 있는가? 거기엔 예선(曳船)이 있다. 예선은 작은 선박이지만, 대형 선박을 끌고 밀어 항만 안에서 안전하게 움직이도록 돕는다. 마치 육상의 견인차처럼, 해상 물류의 필수 요소다. 그러나 정작 이 필수 산업을 떠받치는 예선업계는 지금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연료비 급등, 인력난, 친환경 규제 강화가 한꺼번에 몰아닥치면서 생존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예선업, 해운 물류의 필수 요소지만 지원은 부족항만 물류가 원활히 돌아가려면 대형 선박이 안전하게 입출항해야 하고, 이를 돕는 예선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 지원과 금융 지원은 대형 해운사에 집중돼 있고, 예선업계는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현재 가장 큰 문제는 연료비 부담이다. 국제 유가가 오를 때마다 예선업체들은 막대한 추가 비용을 감당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 보조나 금융 지원은 부족하다. 예선료를 현실적으로 조정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지만, 해운사와의 협의가 쉽지 않다. 인력난도 심각하다. 예선업은
해운업, 불황의 파고를 넘을 해법은?공급 과잉·운임 하락에 흔들리는 시장… 친환경·디지털 혁신이 해답 글로벌 해운업이 거센 불황에 직면했다. 팬데믹 특수로 급등했던 운임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공급 과잉과 경기 둔화가 맞물리며 선사들의 실적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해운업계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모색 중이다. 선박 감축, 친환경 전환, 디지털 혁신, 신시장 개척 등이 주요 대응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선박 감축과 노선 최적화… 공급 조절로 수익성 방어대형 선사들은 공급 조절을 통해 시장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머스크와 MSC는 노후 선박을 조기 퇴역시키고 신규 선박 발주를 축소하며, 비효율적인 노선을 재편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도 수익성이 낮은 노선 조정을 추진하며 선복량을 조절하고 있다. 과거 공급 과잉으로 시장이 붕괴된 경험이 있는 만큼, 이번에는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프랑스의 CMA CGM, 국내 중견 해운사인 장금상선과 고려해운 역시 선박 운항을 조정하며 실적 방어에 나서고 있다. ▲친환경 전환… 탄소 규제 대응과 비용 절감의 두 마리 토끼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면